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whether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come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data from the 15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income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disabled was depressed(B=.241, p<.001), social support(B=-.167, p<.001), and life satisfaction(B=-.277, p<.001) was confirmed to have a direct effec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as verified on the influence between the income status of middle-aged and disabled people between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a multi-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come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disabled people. Therefore, an income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middle-aged and disabled people to live at an appropriate level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disabled peopl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mental health support service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depression and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와 삶의 만족 사이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는 우울 (B=.241, p<.001), 사회적 지지(B=-.167, p<.001) 및 삶의 만족(B=-.277,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가 삶의 만족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와 삶의 만족 사이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장년 장애인에 대한 적정한 수준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소득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장년 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우울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 개입과 사회적 지지망의 확대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분석자료
2.2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3.3 확인적 요인분석
3.4 구조모형분석
3.5 다중효과분석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