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Direction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신민혜, 김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tween upper and lower levels. Therefore, after literature analysis and examination by experts, a model of competence should be developed by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iterature review was done at first to filter out the related factors from previous studies.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followed with other 23 experts.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Competence for Personal Relations is placed at the top with the weight of .213, competence for Self Management follows with the weight of .203, competence for Major is placed at third with the weight of .174, competence for Studies & Liberal follows with the weight of .163, and competence for Sense of Challenge is placed with the weight of .137, competence for Creativity follows with the weight of .110.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가 함양해야 할 역량에 대해 상위 및 하위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예비체육교사가 함양해야 할 역량 모형을 도출하였다. 계층분석 (AHP)에는 23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인관계역량 .213, 자기관리역량 .203, 전공역량 .174, 전문학 습 및 기초교양. 163, 도전의식역량 .137, 창의역량 .110의 가중치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교육 현장에 서 학습자, 학부모, 동료교사 등과의 바람직한 관계형성이 전공지식 역량이 기타 역량보다 예비체육교사의 성취에 중요 한 것으로 판단한 결과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을 위해 대학에서도 역량 중심 교육을 통한 전문화된 역량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때 해당 진로에 대한 진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
2.2 계층분석
2.3 연구 참여자
2.4 자료 처리 및 분석
3. 연구 결과
3.1 교육역량 계층도
3.2 상위 요인 가중치 결과
3.3 하위 요소간 가중치 결과
3.4 전체 하위요소 가중치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민혜 Min-Hye Shin. 원광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빙교수
  • 김승용 Seung-Yong Kim.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