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현실과 과제 - 공연예술분야 종사자 및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ality and task of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in the COVID-19 : Focusing on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workers and experts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김성태, 최부헌, 조항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firmed the perceptions of performing arts field workers and related experts under the theme of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pondents agreed with the practical need for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but respondents in the field viewed the lack of "fieldabili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of non-face-to-face performances as a problem. Second,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performance production had negative perceptions of realism, immersion,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lack of enjoyment outside the performance,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budgets, filming and editing, and actors' acting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government's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related support policy, they complained that support was only given to specific organizations and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suppor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erformance arts should be treated in a complementary and balanced relationship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시대 새로운 화두이지만 찬반논쟁도 뚜렷한 비대면 공연예술을 주제로 공연예술현장 종사자 들과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시대의 공연예술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응답자들은 비대면 공연예술의 현실적 필요성에는 동조하였으나, 현장 직군 응답자들은 비대면 공연이 가진 ‘현장성’과 ‘관객과의 소통’의 결여를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었다. 둘째, 직접 비대면 공연제작에 참여했던 응답자들의 경우에는 비대면 공연이 가지는 현장감, 몰입감, 관객과의 상호작용, 공연 외 즐거움의 부족과 부 재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제작 과정에서 예산확보문제, 촬영·편집 등의 기술적 문제, 배우들의 연기몰입 문제 등에 대한 애로사항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비대면 공연예술 관련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특정단체, 소수에게만 지원이 돌아간다는 불만과 지원 상 행정적 어려움 등을 토로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정부의 공연예술 분야 정책은 공연예술이 갖는 현장성 그리고 본질적 희소성이 살아있는 대면 예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본원적 지원과 함께 새롭게 주목받는 비대면 공연예술의 기반 구축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대면과 비대면 공연예술이 상호 보완적이며 균형적 관계를 지향해야 함을 제언할 수 있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코로나19와 공연예술현장의 변화
2.2 비대면 공연예술의 개념과 특징
2.3 비대면 공연예술의 쟁점과 이슈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론
4. 연구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연구문제 1) 비대면 공연예술에 대한 공연예술종사자들 및 전문가들의 일반적 인식과 평가
4.3 (연구문제 2) 비대면 공연예술 제작참여자에 대한의견
4.4 (연구문제 3) 비대면 공연예술의 정부지원에 대한 평가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성태 Soung-Tae Kim.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조교수
  • 최부헌 Bu-Heon Choi.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조교수
  • 조항민 Hang-Min Cho.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학부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