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의 타당화

원문정보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ive Agingwell Scale

홍지웅, 주해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ive Agingwell Scale (SAS). Three hundred and forty two elders completed the SAS and the scales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optimism, perceived control and adhering to healthy behavior. The 11-item SAS that displays good internal reliability and good fit to the three-factor model consisting of cognitiv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spiritual fullness. Correlational analyses with measures of subjective agingwell,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provid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Moreover,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AS. This scale could be used in the field to measure and promote subjective agingwell.

한국어

본 연구는 노년의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Subjective Agingwell Scale: SAS)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에이징웰, 주관적 안녕감, 낙관주의, 지각된 통제력, 건강준수 행동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최종 342명의 응답결 과가 사용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신뢰도 분석결과, 11문항의 SAS의 전체 및 하위 척도 신뢰도는 수용할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SAS는 구성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요인(인지, 정서, 영) 구조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었고, 주관적 에이징웰과 주관적 안녕감, 낙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에이징웰은 건강행동 준수를 예측하였고 준거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 관점의 에이징웰 측정도구를 국내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주관적 에이징웰 측정도구
2.2 주관적 에이징웰과 주관적 안녕감, 낙관주의
2.3 주관적 에이징웰과 건강행동 준수, 지각된 통제력
3. 방법
3.1 참여자 및 절차
3.2 측정도구
3.3 분석
4. 결과
4.1 신뢰도 및 구성타당도
4.2 준거타당도
5.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홍지웅 Ji-Woong Hong. 중앙대학교 인적자원개발학과 박사
  • 주해원 Haewon Ju. 국립안동대학교 심리과학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