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 types on program satisfaction by using functional image and emotional image of the program as mediators for the participant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 The sub-variables of the healing agriculture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horticultural healing, animal healing, food healing, and forest healing. 32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 in the whole country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which used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4 to analyz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First, Among the type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s, animal healing, food healing, and forest heal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functional image. Second, all type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image. Third,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imag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among the types of healing agriculture program, horticultural healing, animal healing, and forest hea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food healing did not maintain the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ifth, functional image mediated between healing agriculture program and satisfaction. Sixth, emotional image mediated between healing agriculture program type and satisfaction. In the next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adjustment of mediators other than the mediators introduced in this study or the controlled mediated analysis through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in which the moderator variable is introduced.
한국어
본 연구는 치유농업프로그램이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를 매개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 하고자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의 하위변수를 원예치유,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체험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28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프로세스매 크로 v3.4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간 인과관계가 없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치유농 업프로그램 유형 중 원예치유를 제외한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는 기능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가 감정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 농업프로그램 유형 중 음식치유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기능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감정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유형별로 만족도를 제 고하기 위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매개변수 외에 다양한 의미있는 매개변수 의 발굴 연구 또는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고찰 및 연구가설
2.1 치유농업
2.2 치유농업프로그램
2.3 기능적 이미지
2.4 감정적 이미지
2.5 만족도
3. 연구설계
3.1 연구가설
3.2 연구모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3.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5 조사대상의 특성
3.6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3.7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3.8 단일 응답자 편차 검증
4. 분석결과
4.1 상관관계 분석
4.2 가설검정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