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Delivery and Take-out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Household Type
초록
영어
In this study, using the raw data of the 7th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2019), compare and analyze what factors affect the food delivery service and take-out food expenditure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women(especially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high tendency to pursue safety preference versus price. In the future, Korea’s population structure is expected to steadily increase single-person household and elderly households, an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addition, the food delivery market ha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12 cities and provinces out of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with Covid-19, especially in the non-capital area, making it has become a universal service nationwide. Therefore, the growing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needs marketing strategies to secure and emphasize food safety.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의 1인 가구 증가와 식품의 비대면 구매 증가 현상 속에서 7차 식품소비행태조사(2019)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차이가 나는 원인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 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인가구의 인구 특성별 요인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식품 이용 빈도가 배달·테이크아웃의 지출액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후 다인가구와 비교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소득이 증가할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지출액이 높았다. 둘 째, 1인가구의 여성일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높았으며, 다인가구의 여성은 상대적으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특정 연령에 따른 지출비용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빈도가 증가할 수록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인 가구에서 주 4회 이상 배달 및 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지출비용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2020년 음식료 배달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 에서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보편적인 서비스산업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식품산업이 식문화 트렌드 변화와 인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도록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자료설명 및 1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
2.1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설명
2.2 1인가구의 식품구매 특성
2.3 1인가구의 외식과 테이크아웃 특성
3. 연구방법 및 분석 결과
4. 요약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