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Korea : Based o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ata analysis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Korea. Using the data of the 7th Aging Research Panel in 2018, 119 people were enrolled. We used response data on the dementia-related factors that is the duration of dementia and whether or not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restricted due to dementia. For comorbid diseases, data on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2.0. Dementia-related factors and comorbidities of the analyzed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lling index.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was greatest in the order of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daily life restrictions due to dementia, and the duration of dementia. This study is meant to identify factor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composition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rategies for preventing falls due to the duration of dementia and limiting daily life, intensive management of high-risk groups for falls due to comorbid diseases, and training in the use of safety aids such as walking aids will be required in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한국어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치매 관련 요인 및 동반질환이 낙상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자료분석 연구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8년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치매 노인 119명을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치매 관련 요인은 치매 유병 기간 및 치매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여부에 대한 응답자료를 활용하였고, 동반질 환은 고혈압, 당뇨, 비만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치매관련 요인 및 동반질환 모두 낙상 위험도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비만, 당뇨, 고혈압, 치매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치매 유병 기간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낙상 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에 우선되어야 할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케어에 치매유병기간과 일상생활 제한에 따른 낙상예방 전략과 동반질환으로 인한 낙 상 고위험군의 집중 관리와 보행 보조도구 등 안전 보조도구 사용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분석 대상 및 표본 추출
2.2 측정 도구
2.3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치매 노인의 낙상 위험도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