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5G-based Text Alert Service Requirements and Scenarios for Realizing Active Geo-Targeting
초록
영어
Due to the recent advanceme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igh mobile phone penetration rate, researches on emergency text alert service for enhancing the accessi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further accelerates the efforts for the alert services. Existing emergency text services are simple and efficient. However, unclear reception area may cause unintended alert messages frequ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5G-based text-alert services to derive service requirements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n we propose an emergency disaster text service scenario using Active Geo-Targeting that enables active disaster text reception of terminals. In addition, we newly define an interface protocol that is CIB(Control Information Block) to operate the proposed scenario.
한국어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높은 휴대전화보급률 덕분에 접근성이 높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기 술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COVID-19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복잡성이 낮고 효율적이다. 하지만 수신지역이 불 명확하여 불필요한 메시지의 반복수신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 분석 을 통하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단말의 능동적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한 Active Geo-Targeting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하여 새 로 정의된 CIB(Control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고안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시스템 구조
3.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현황
4.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분석
5. Active Geo-targeting을 위한 5G 기반 CBS 서비스 시나리오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