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nalysis of Landslide Risk Considering Extreme Precipitation Conditions for Gyeonggi-do Gwangju Region

원문정보

경기도 광주지역의 극한강우 사상을 고려한 산사태위험도 분석

Jae Hwan Kwak, Kon Joon Bh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is featured by the rugged topography that is composed of mountains about 68% of the country and the weather that rainfall is mostly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 These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features have caused disasters such as landslide and avalanche from mountains every year. Especially, urban expansion caused urban boundaries to get closer to steep slopes of mountains and residents are seriously exposed to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so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required. We, however, are facing the limitations i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landslide disaster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auses of landslides like human factors as well as natural ones. To reduce the limitations, we generated of a hazard map by landslide for Gwangju City, Gyeonggi-do with an assumption of an extreme rainfall situation based on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To derive the landslide hazard map, we collected soil samples from the places where landslides actually occurred and constructed physical data by experiments and derived a landslide hazard map based on 5 rainfall scenarios. The accuracy of the resul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of the landslide hazard maps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Forest.

한국어

우리나라는 국토의 68%가 산지로 구성된 험준한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강우가 하절 기에 집중되어 있는 기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형적 및 기상적 특징으로 인해 매년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 확장으로 인해 도심지 경계는 산과 같은 급경사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주민들은 산사태와 같은 재난의 위험성에 심각하게 노출되 어 적절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산사태는 자연적 요인뿐 아니라 인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연에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줄이고자 무한사면안정해 석 모델을 바탕으로 극한강우상황을 가정하여 경기도 광주시에 대한 산사태위험도를 작성하였다. 실제 산사태가 발생된 현장을 중심으로 토질시료를 채취, 실험을 통해 물성 데이터를 구축하고, 5개 의 강우 시나리오에 대한 산사태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의 정확도는 레퍼런스인 산림청의 산사태위험지도와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무한사면안정해석 모델
Ⅲ. 연구지역
Ⅳ. 연구지역에 대한 입력데이터 구축
1. 과거 산사태 발생이력조사 및 분석
2. 실내시험 및 물성데이터 구축
3. 연구지역에 대한 지형자료 구축
Ⅴ. 분석결과 및 토의
Ⅵ.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ae Hwan Kwak For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Kon Joon Bha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