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스마트 공장은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5G, 로봇, 3D 프린터, 빅데이터 기술 등을 적용하여 최소 비용 및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장으로 정의된다. 이는 생산시스템의 자동화를 통한 공장 자동화 단계를 뛰어넘어 비즈니스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총체적인 최적화를 이루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스마트 공장 구축을 장려하고 있다. 중소벤처 기업부는 민관 합동으로 스마트 제조혁신 추진단을 구성하고, 2022 년까지 스마트 공장 기업 3 만개 보급, ‘30 년까지 스마트 공장 보급률 100% 달성을 목표로 제조공장의 ICT 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9 년 정부 자료에 의하면 도입 대다수가 기초 단계이며, 중간 1 단계는 18.7%, 중간 2 단계 1.5%, 고도화 단계는 전무한 실정이다. 자원기반이론에 따르면 역동적인 시장환경에서 기회와 위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자원을 재구성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기업의 동적역량이 기업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마트 공장은 디지털기술의 결정체이며 스마트 공장이라는 혁신의 성공적 구현은 기업의 IT 역량과 동적역량이 결합되어야 한다는 논거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동적역량과 IT 역량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관계된 개념과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공장 도입을 시도한 기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Ground theory) 방법의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보충 문헌연구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추가 변수들(IT 외부역량, IT 유연성)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의 초안이 완성되었다. 차제에 완성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스마트 공장 도입을 한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업의 내외부 IT 역량과 스마트 공장 도입 성공의 관계에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IT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