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강원도의 보건 의료와 급성 전염병에 관한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Health Care and Acute Infectious Diseases in Gangwon-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이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health care and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acute epidemics in Gangwon-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statistical data left by the Japanese authorities. While the number of hospital beds, hospitals, and medical personnel was relatively deficient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the population, which caused poor health and medical care, the Japanese residents in Gangwon-do actually benefited great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accurately collect data on the situation of Korean people as for acute infectious diseases, so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reality of Koreans at that time. Through analysis of the mortality rate from acute epidemics among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is paper found that the mortality rate in Joseon was four times higher than that in Japan, and Gangwon-do was one of the regions with the greatest threat of acute epidemic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intestinal ones excluding cholera.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in Gangwon-do, the measures of the colonial authoritie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and hygiene were quite insufficient, and the situation of Koreans was much more serious than that of Japanese. In terms of medical care and the prevention of epidemics, the so-called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s a kind of illus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강원도의 보건 의료 제공과 급성 전염병 유행 상황을 일제 당국이 남긴 통계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강원도 지역은 인구 대비 도립의원 병상 수, 병원 수, 의료 관계자 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부족하여 보건 의료의 측면에서 열악하였지만, 강원도 거주 일본인은 오히려 큰 수혜를 입었 다. 급성 전염병에 관하여 조선총독부의 통계에는 조선인의 상황이 제대로 집계되어 있지 않아 조선인의 실상을 파악할 수 없다. 재조 일본인의 급성 전염병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조선은 일본 본토의 4배 수준이었고, 강원도는 조선에서 급성 전염병, 특히 콜레라를 제외한 소화기계 전염병의 위협이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였다. 그러나 강원도에서는 식민지 당국의 방역과 위생 관련 조치가 상당히 미흡하였으며, 조선인의 상황은 일본인보다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악조건이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의료와 방역에 관한 한, 소위 식민지 근대화론은 성립하지 않는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의료 공급 상황
1. 병원
2. 의료 관계자
Ⅲ. 급성 전염병의 유행 상황
1. 전반적 상황
2. 질병별 상황
3. 소결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규원 LEE Kyu Won.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객원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