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메타버스 오디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Metaverse Audition by Using Delphi

조이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rives the possibility of musical audi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the Delphi Method. Research on non-face-to-face classes, which has been inevitably experienced due to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demands of the post-corona era,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in the Arts. However, research on actor training using avatars in a virtual space linked to the metaverse platform is lack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musical actors who nurture potential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acting, singing, and dancing, and a total of 3 brainstorming processes and 2 Delphi analyzes were conducted to select factors by experts.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various emoticons that can express the facial expression and body movement of the avatar can be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avata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onnection to verify the participant's acting and dance performance,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nurturing actors due to the limitations of mobile metaverse technology, which is not efficient for immediate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educational medium through voice training such as voice acting and vocal imitation during acting training. Furthermore, compared to acting and dance classes, singing classes are insufficient as a teaching tool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in major fields including play, but musical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actor training. In addition, in that personal information set with a nickname rather than a real name can be evaluated only by singing by excluding prior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 it also presented a meaningful task for fairness and anonymity that may arise.

한국어

본 연구는 델파이기법을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뮤지컬 오디션 가능성을 도출한다. 포스트 코로 나 시대 기술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강제로 경험하게 된 비대면 수업 연구는 예술전공에도 다양하고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을 연계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활용한 배우 훈련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뮤지컬 배우 훈련 가능성 요인은 연기, 노래, 춤으로 구분하고 요인 선정을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 3번의 브레인스토밍 과정과 2번의 델파이 분석을 했 다. 실험연구를 통하여 아바타의 표정 연기와 신체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모티콘을 사용하 는 것이 아바타의 움직임에는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참가자의 연기와 춤 실연을 검증하기 위한 연관성을 찾기 어려우며 즉각적인 상호작용에 효율적이지 않은 모바일에 한정된 메타버스 플랫폼 기술의 한계로 배우 양성을 위한 교육 매체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높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연기 훈련 중 보이스액팅, 성대모사와 같은 음성 훈련을 통한 교육 매체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나아가 연기와 춤 수업에 비하여 노래 수업은 유희를 비롯한 전공 분야 이론과 실습을 겸하는 교수 도구로 미흡 하지만 뮤지컬 배우 훈련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한 편, 본명이 아닌 닉네임으로 설정되는 개인정보 는 참여자에 대한 사전 정보를 배제함으로 가창만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성과 야기될 수 있는 익명성 문제에 대한 유의미한 과제를 제시했다. 더불어 이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메타버스 문화 콘텐츠 매칭 플랫폼 연구’(김정권, 2021)를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튜 토리얼을 중심으로 배우 훈련을 위한 교육 도구로서 연계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도출하였으며, 그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뮤지컬 배우 훈련의 주요 요소인 춤, 노래, 연기에 대하여 메타버스 오디션 시뮬레이션 을 통해 실제 오디션과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 뮤지컬 배우 훈련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설문도구 구성
2.1. 메타버스 오디션 장르 선호도
2.2. 메타버스 오디션과 실물 오디션 결과 실제 비교 연구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이킴 Kim, Joy.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뮤지컬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