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세·근대국어 동사 구문 연구의 쟁점과 과제

원문정보

Issues and Assignments of the Study of Syntax Structure in Historical Korean Verbs

선한빛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current of verb constructions in Historical Korean and examines research issues and future tasks. Before the main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ccumulated to some extent and what current flow is being grasped. Because we can find future tasks in the process of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Forty-eight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so far. For this reason, the study was classified based on the research form, research period, research scope, and research subjects. The study was mainly focused on the study of the verbs of the 15-16C Korean language, and the study of the thesis published in 2001-2010 as the research period. However, the scope of the verb syntax was wide. So the common parts of each study were forced to deal with the issue.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several discussions described the criteria and technique of selecting verb syntax, the discrimination of the necessity/veterinaryity of noun phrases, the range of verb syntax and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grammatical status of 'Ida'. And this study concluded by suggesting directions to supplement these issues in the future.

한국어

이 글은 중세·근대국어의 동사 구문 연구가 지금까지 걸어온 발자취를 돌아보고 쟁점으로 분류된 부분들을 검토하여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고찰하는 글이다. 주된 논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2장에서는 중세·근대국어의 동사 구문 연구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되었고 현재 어떠한 흐름으로 가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도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발표된 성과는 57건으로, 연구 형태·연구 기간·연구 범위·연구 대상을 기준으로 분류를 하였다. 연구 형태로는 소논문이, 연구 기간으로는 2001-2010년에 발표된 논문이, 연구 범위로는 공시적인 논의가, 연구 대상으로는 후기 중세국어의 동사 구문을 다룬 연구가 비중이 높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동사 구문 연구가 여러 범위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기술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3장에서는 기존 연구 성과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들을 쟁점을 다루었다. 쟁점은 동사 구문의 선정 기준과 기술 방식, 명사구의 필수성/수의성 판별, 동사 구문의 범위와 ‘이다’의 문법적 지위를 인식한 방식과 같이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부분들은 그동안 중세․근대국어 동사 구문 연구들에서 깊게 고민되지 않았던 부분들이다.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언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동안 해결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부분들은 계속해서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공동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동사 구문 연구의 현황과 흐름
3. 주요 쟁점과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선한빛 Seon, Hanbit.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구지영(1999), 「15세기 국어의 주격중출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권영(2007), 「‘-이 하-’ 구문에 대한 통시적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석사학위논문.
  • 3권재일(2001), 「한국어 격틀 구조의 역사적 변화」, 『語學硏究』 37-1, 한국언어학회, 135-155.
  • 4김미령(2005), 「중세 국어의 격 교체 구문에 대한 연구 -『월인석보19』, 『석보상절21』, 『법화경언해7』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4, 우리어문학회, 7-32.
  • 5김민수(1968), 「國語의 構文構造-變形生成文法의 中心部門-」, 『亞細亞硏究』 11-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46.
  • 6김윤신(2019), 「구문의 구조와 의미 -논항 교체 구문을 중심으로-」, 『국어학』 89, 국어학회, 285-312.
  • 7김정아(1993/1998),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 8김정아(2001), 「李賢熙, 中世國語構文硏究, 서울: 新丘文化社, 1994, 600면」, 『형태론』3-1, 도서출판 박이정, 149-163.
  • 9김정아(2004), 「韓在永의 『十六世紀國語構文의 硏究』(1996) 다시 읽기」, 『형태론』6-2, 도서출판 박이정, 423-432.
  • 10김진웅(2019), 「구문 개념의 정립을 위한 시론」, 『국어학』 89, 국어학회, 313-33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