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fluence of the Brand Image of the Movie Theater on View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s
초록
영어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offline film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value of 'direct experi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tor of offline cinema from the OTT service, which is currently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referring to it as a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The study then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d situational values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brand image of offline cinema on viewing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consumers, regardless of age or gender, who had watched a movie in an offline movie theater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for a total of 31 days from December 0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problem of this study was solved through difference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and a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rand image of the cinema as perceived by viewers in the offline cinema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viewing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on viewing satisfaction, social situational values showed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way to maximize the social value of offline movie theaters, cultural centers or content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can be created in offline movie theaters. Methods such as the creation of indirect experience spaces experienced by actors in the movie a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오프라인 영화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하여 현재 치열한 경쟁을 다투고 있는 OTT 서비스와의 가장 핵심적인 오프라 인 영화관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는 ‘직접적 체험’이라는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사회·상황적 가치로 명명한 뒤 오프라인 영화 관의 브랜드이미지가 그들의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속에 사회·상황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 여 2020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총 31일 간 최근 3개월 이내 오프라인 영화관 내에서 영화관람 경험이 있 는 350명의 남녀노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차이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 영화관의 관람객이 지각하는 영화관 의 브랜드이미지는 그들의 관람만족도에 대하여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이미지가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속 에서 사회상황적 가치는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오프라인 영화관의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 안으로 문화센터 혹은 평생학습과 관련한 콘텐츠를 오프라인 영화관 내에 조성하는 방안과, 상황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화관 내에 영화 콘텐츠 관련 체험 공간, 영화 내에서 배우들이 체험한 간접경험 공간의 조성 등의 방안을 제시하 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2. 이론적 배경
2.1. 브랜드이미지
2.2. 관람만족도
2.3. 사회 · 상황적 가치
3. 연구의 방법
3.1. 연구의 대상
3.2. 연구도구
4. 연구의 결과
4.1. 연구대상자의 기본적 특성
4.2.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4.3.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4.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람만족도
4.5.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가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6. 사회 · 상황적 가치의 매개효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