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body of literature on the linkage between low self-control and juvenile delinquency or criminal behavior. However,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morality can act as a mechanism to suppress or buffer the effect of low self-control on delinquency or crime. Based on situational action theor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whether low self-control and morality have an interactional effect on delinquency, which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Using the data from the Early Adolescent Delinquency Survey administer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KIC) in 2009, this study estimated an ordinary least squares(OLS)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found significant interactional effects, indicating that the impact of low self-control on delinquency was conditioned by moral beliefs. Especially, low self-control matters when personal morality is weak while low self-control was irrelevant for those with strong morality.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어
낮은 자기통제력과 청소년비행 또는 범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왔던 반면에, 낮은 자기통제력이 비행이나 범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도덕성이 과연 이러한 효과를 완충하고 억제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황적 행동이 론에 기초하여 청소년비행에 있어 낮은 자기통제력과 도덕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저연령 소년의 비행실태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1,053명의 표본에 대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낮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력 은 개인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덕성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낮은 자기통제력이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던 반면, 도덕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 간에는 유의 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비행을 감소하기 위한 정 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및 분석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