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act of Start-up Motivation and Social Capital on Start-up Performance in Small Business Start-ups :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초록
영어
Small business owners occupy an important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Recently, small business owners in Korea, China, and both countries have been hit greatly by COVID-19. On the other hand, digital transformation made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an opportunity for small business start-up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start-up motivation and social capital on start-up willingness and start-up performance in both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between start-up willingness and start-up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art-up support platform and self-efficacy a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all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start-up willingness and the start-up performance, except that China's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start-up motivation) and Korean ’trust’ were rej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performance. In addition, digital transform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tart-up support platform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section suggests various implications for small business start-ups in both Korea and China.
한국어
소상공인은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한﮲중 양국의 소상공인들은 큰 타격을 받았다. 반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은 소상공인 창업에서도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에서 소상공인 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지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의지와 창업성과 사이에 디지털 전환의 매개효과, 창업지원 플랫폼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도 고찰하고자 한다. 실증연구의 결과, 중국의 성취동기와 한국의 신뢰가 창업성 과와의 관계에서 기각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 독립변수는 창업의지와 창업성과 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디지털 전환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창업지원 플랫폼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부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중 양국의 소상공인 창업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연구
2.1 소상공인 창업
2.2 창업동기
2.3 사회적 자본
2.4 창업의지
2.5 자기효능감
2.6 디지털 전환
2.7 창업지원 플랫폼
2.8 창업성과
Ⅲ. 연구가설 및 모형
3.1 연구가설
3.2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4.1 연구 방법
4.2 표본의 특성
4.3 변수의 측정
4.4 신뢰성 및 타당성
4.5 한국 표본의 가설 검증
4.6 중국 표본의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실증분석의 요약
5.2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