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배음악에서 나타난 화성, 선율 그리고 구조분석 연구 : 힐송 음반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Harmony, Melody and Structure in Worship Music : Focus on Hillsong Best Music

장경숙

초록

영어

This thesis studied Hillsong's works among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CCM) which played a leading role in church practical music in the 1990s. Among them, the popularity of “Hillsong,” which was sung the most globally, led to some of them being selected. The researcher chose some of the Hillsong works representing the 1990s and tried to find a new inflection point in church music by analyzing “harmonic progression.” Also, the researcher became interested in various analyses that fit the music theory while analyzing Hillsong's works. In particular,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harmonic progression relationship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harmony in Hillsong's work. It was meaningful to open a new path as a music system including church music, practical music, and Western music theory by documenting its researched works.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for praise ministers who study church music, spread and proclaim the gospel through universal church music. It will also have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ks, the purpose was to use them as instruments for application and analysis of church music. This researcher applied Neo-Riemannian Transformation Theory to classify harmonic progression relationships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harmonic progression structure of Hillsong music in the 1990s. Further, the harmonic progression of Hillsong's work was analyzed with a focus on Primary Harmony to apply harmony to Neo-Riemannian Transformation Theory. The harmony was simplified by proceeding with the most basic major and minor triad. The harmonic progression of Hillsong's work was analyzed using the score notation of Tonnetz and Schenkerian Analyses. The application of Neo-Riemannian Transformation Theory has been categorized and explained in terms of division, symmetry, extension, R relationship and L relationship progression, and RL/LR relationship of harmonic progression.. This classification of harmonic progression relationship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ach harmony progression relationship. It examines how harmony progressed in the work, and with what structure and method it was composed. Finally, this thesis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instrument for God's mission.

한국어

1990년대의 교회 실용음악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한 CCM (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은 전 세계 교회에서 불려진 예배 음악 이었다. 당시에 가장 많이 부르던 힐송(Hillsong)을 선정하여 연구하게 된 것은 ‘힐송 작품’의 대중성 때문에 일부를 선정하여 살펴보게 되었다. 연 구자는 1990년대를 대표하는 힐송 작품 중 일부를 선정하여 ‘작품에 나타 난 화성진행(Harmonic progression)’을 분석함으로 교회음악의 새로운 변곡점을 찾으려 하였다. 또한 힐송 작품을 분석하는 동안 음악이론에 맞 는 다양한 분석으로 흥미를 갖게 되었다. 특히 힐송 작품에서 나타난 화성 (Hormony)을 분석하여 ‘화성 진행 관계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그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면서, 연구된 작품을 자료화하여 교회음악, 실용음악, 서양 음악이론까지 하나의 음악체계로서 새로운 길을 열어 보는데 의의를 두었 다. 또한 교회음악을 연구하고 보편적인 교회음악을 통해 복음을 전하고, 선포하는 찬양 사역자에게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도 있을 것으 로 보인다. 이들 작품의 특징들을 교회음악의 적용과 분석 도구로 활용하 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1990년대 힐송 음악에 대한 화성진행 구조를 좀 더 쉽 게 알아보고 이해하기 위하여 네오리만 변형이론(Neo-Reimannian Transfomation Theory)에 적용시켜 화성 진행 관계를 분류하였다. 그리 고 네오리만 변형이론에 화성을 적용하기 위해 힐송 작품의 화성 진행을 주요 화음(Primary Harmony)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화성을 가장 기본적 인 장3화음(Major Triad)과 단3화음(Minor Triad)진행하면서 단순화시켰 다. 힐송 작품의 화성진행은 토넷츠(Tonnetz)와 쉔커식 분석(Schenkerian Analysis)표기 악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네오리만 변형이론에 적용된 화성은 화성 진행의 분할, 화성 진행의 대칭, 화성 진행의 연장, 화성 진행의 R관계와 L관계 진행, 화성 진행의 RL/LR관계로 정리하여 분류하고 설명 하였다. 이러한 화성 진행 관계 분류는 각각의 화성진행 관계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에 서 화성이 어떻게 진행되고, 어떠한 구조와 방법을 가지고 작곡되었는가를 고찰하고 현대 교회의 교회음악의 한 단면을 통해서 보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도구로 사용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네오리만의 변형이론(Neo-Reimannian Transfomation Thory)
III. 화성 진행의 분할
IV. 화성 진행의 대칭
V. 화음 진행의 연장 (Prolongation)
VI. 화성 진행의 R관계와 L관계
VII. 화성 진행의 RL/LR관계
VIII.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경숙 Kyoungsuk Chang. 백석대학교평생교육신학원

참고문헌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