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화계사 <천수천안관음보살변상도>에 반영된 19세기 불교의 신경향

원문정보

New Trends of the Nineteenth Century Buddhism Reflected in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Sahasrabhuja Sahasranetr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of Hwagyesa

이용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the large woodblocks of Hwagyesa Temple,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千手觀音菩薩變相圖>, hereafter Transformation Tableaux) is known to be the original plate of the Embroidered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刺繡千手觀音菩薩圖>) of 1875 and 1910, made in the Joseon court and enshrined in the Gwaneumjeon Hall of Hwagyesa Temple.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publishers of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Hwagyesa; the beliefs and ideas they pursued,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gold lion(金犼) in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aintings, are examined thereafter from the perspective of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Ming and Qing Buddhist cultures of the royal family and Joseon intellectual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Hwagyesa seems to be produced in the same period with the Pagoda of the Universal Palace(<圓通宮殿塔圖>) and the Pagoda of Vairocana Pavilion(<毘盧遮那樓閣塔圖>), which are published in 1873. The publishers of these large woodblocks are monks and grhapatis, including Hwanong Hwanjin, Yu Seongjong, Jeong Hagyeong, Yu Huije, Seo Yungu, Go Sangjin and Yi Wongi, who were active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y are consid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the Transformation Tableaux. Hwanong Hwanjin, the Dharma-heir of Baekpa Geungseon, was respected as a Hwaeom philosopher and wrote the preface for the new version of the Pagoda of Vairocana Pavilion. Upon the enshrinement of the Embroidered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Hwagyesa, he confirmed the deeds of the embroidered Buddha, which enabled the continued royal support and Avalokiteśvara belief in the templ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entlemen of Lotus Society(蓮社諸賢)” mentioned in the preface are the likes of Yu Seongjong and Jeong Hagyeong, the members of the Myoryeon Buddhist Society(妙蓮社). Also, the large woodblocks are assumed to be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ascetic practices at Gamnoam Hermitage of Samgaksan mountain in November 1878. In particular, the Transformation Tableaux is analyzed to be the figure of universal teachings(普門示現像): the visualization of Avalokiteśvara’s divine response and revelation which the grhapatis pursued. Behind the expression of the fourty-two arm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on top of a golden lion(jinhou) in Hwagyesa's Transformation Tableaux is the Buddhist knowledge and awareness raised through various Buddhist cultures introduced from China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painting and expression are related to the painting manual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Fifty-three Compassionate Forms of Kuan-yin(慈容五十三現), and the illustrated Chinese novel, the Journey to the West(西遊記). Hwagyesa's Transformation Tableaux shows completely different iconography from the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aintings of the nineteenth century. This paper demonstrates the background of the royal production of the Embroidered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ith such differentiation to be the royal culture that recognized the iconography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riding a gold lion from earlier on, through Chinese novel illustrations. Lastly, I paid attention to Yu Seongjong as a hidden helper in the production of the Transformation Tableaux and the Embroidered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Bodhisattva—he was a royal official belonging to the Queen's space, knowledgeable to Chinese Buddhist culture, and was actively engaged in Jeongwon Buddhist Society(淨願社) and Myoryeon Buddhist Society.

한국어

화계사 대형 목판 중 <천수관음보살변상도>는 1875년과 1910년에 왕실에서 제작해 화계사 관음전에 봉안된 <자수천수관음보살도>의 모본으로 알려져 있다. 이글에서는 화계사 <천수관음보살변상도>를 대상으로 간행 주체를 밝히고 그들이 추구했던 신앙과 사상, 천수관음보살도에 金犼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19세기 후반 왕실과 조선지식인의 明·淸 불교문화의 인식과 수용이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화계사 <천수관음보살변상도>는 1873년 간행된 <원통궁전탑도>와 <비로자나 누각탑도>와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계사 대형 목판의 간행 주체는 환옹환진, 유성종, 정학영, 유희제, 서윤구, 고상진, 이원기 등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했던 승려와 거사들로, <천수관음보살변상도> 제작에도 관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환옹환진은 화엄종주 백파긍선의 법손으로 <비로자 나누각탑도>의 개판기를 지을 정도로 화엄사상가로 존숭을 받았고 <자수천수관 음보살도>를 화계사에 봉안할 때 자수불상의 공덕을 증명하여 왕실 후원과 관음 신앙의 발현이 화계사에서 지속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개판기에 등장하는 “蓮社 諸賢”은 유성종, 정학영 등의 묘련사 결사의 거사들이며, 1878년 11월에 삼각산 감로암에서 진행된 제1회, 제2회 수행의 산물이 바로 화계사 대형 목판임을 고찰 하였다. 특히 <천수관음보살변상도>는 이 때 거사들이 구현하고자 한 관음보살의 감응과 시현을 시각화한 普門示現像이라 해석하였다. 화계사 <천수관음보살변상도>에서 금후를 탄 42수 천수관음보살이 표현되는 배경에는 19세기 중국에서 유입된 다양한 불교 문물로 높아진 불교 지식과 인식이 기반하고 있으며, 도상과 표현은 중국 명·청 화보집인 자용53현, 중국 소설 삽화본 서유기와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화계사 <천수관음보 살변상도>가 19세기에 조성된 천수관음보살도와는 전혀 다른 도상임도 불구하고 왕실에서 <자수천수관음보살도>를 제작한 배경에 중국 소설 삽화를 통해 금후를탄 관음보살을 일찍부터 인지하고 있던 왕실문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화계사 <천수관음보살변상도>와 <자수천수관음보살도> 제작에 숨겨진 조력자로 신정왕후 처소 소속 궁중 관원이며 중국 불교문화와 문물에 해박하고 정원사, 묘련사 등의 결사에 활동했던 유성종을 주목해보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화계사 대형 목판의 간행 주체와 신앙
Ⅲ. 화계사 <천수관음보살변상도>의 도상과 明·淸 畵譜의 영향
Ⅳ. 화계사의 <천수관음보살변상도>와 <자수천수관음보살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윤 Lee Yong yun.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