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지역과 예술

진주 삼천포 농악의 춤사위 연구 - 7차 등맞이굿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Jinju Samcheonpo Nongak Dance Study - Focusing on the 7th Deungmajigut -

박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of Jinju Samcheonpo Nongak 7th Deungmajigut. The research method used performance video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techniqu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 simple beauty. If you look at the nonsense dance of the iron jabs during the performance process of the Deungmajigut, there are many dances that stand with only their hands open. Because these dances are improvised, the movements are not complicated and simple. Seco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expressed in Taegeuk appears. You can look at the elements of yin and yang through the opposite movement like the Taegeuk of Buckgujab. Third, it has a magical meaning. During the 12th process of Nongak, the expression of a magical religious reason wishing for fertility, which represents simulated sexual activity, appears through the lines of miscellaneous colored editorials that appear only in the 7th Deungmajigut.

한국어

본 연구는 진주 삼천포농악 7차 등맞이 굿의 춤사위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공연 영상 자료 분석 및 문헌연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미를 가진다. 등맞이굿의 연행과정 중 보여 지는 쇠잽이 들의 허튼춤을 보면 손만 벌리고 서 있는 춤이 많다. 이러한 춤은 즉흥적으로 추기 때문에 동작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다. 둘째, 태극으로 표현되는 음양의 조화가 나타난다. 벅구잽이의 태극처럼 반대로 돌아나가는 동작을 통해 음양의 요소를 살펴 볼 수 있다. 셋째, 주술적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농악의 12차 과정 중 7차 등맞이굿 에서만 나타나는 잡색의 사설의 대사를 통해 모의적 성행위를 나타내는 풍요다산 을 기원하는 주술 종교적 사유의 발현이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진주·삼천포 농악의 역사적 배경
Ⅲ. 등맞이굿 춤사위 분석
1. 등맞이굿의 춤사위양상
2. 춤사위의 특징과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희 Park So-hee. 여수시립국악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