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교적 효 개념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원문정보

A critical review on the history of Confucian filial piety

채석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contain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Confucian filial piety(孝), which means special love and respect for parents, did not arise through awareness of human nature. In terms of moral psychology, it can be said that filial piety is difficult to see as an independent moral module like rényìlǐzhì(仁義禮智) or trust(信). Second, concept of the Confucian filial piety has a strong political meaning. If you accept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filial piety of the Yin(殷) dynasty has changed to the filial piety of the Zhou (周) dynasty, the political elements contained in the concept of filial piety must be considered in the research process on filial piety. Third, concept of the Confucian filial strongly overlaps not only the sense of ‘blood solidarity’ in the universal sense but also the sense of ‘collective solidarity’. Fourth, if either of the overlapping properties of the two modules inherent in filial piety is overly emphasized, it will eventually result in political and social coercion. In this regard, the filial piety theory of Confucius and Mencius, who affirmed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én (仁)/compassion(harm/care) modu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based trust(信)(ingroup/loyalty) module overlap with filial concept, is evaluated as the most realistic filial piety theory. Through these studies, this article argues that filial piety education today should proceed in the direction of considering the duality of filial piety.

한국어

이 글은 다음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 부모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공경을 뜻하는 유교적 孝개념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자각을 통해 발 생한 것이 아니다. 이를 도덕심리학적으로 표현하면, 효는 仁義禮智나 信처럼 독립된 도덕모듈이라 보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둘째, 유교적 효 개념에는 정치적인 의미가 강하게 담겨 있다. 은 대의 효(封+子)가 주대의 孝로 변화하였다는 기존 연구성과를 받아들 인다면 효에 관한 연구 과정에서 효 개념에 담긴 정치적 요소는 반드 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유교적 효 개념에는 보편적 의미의 혈연적 연대의식뿐만 아니라 집단적 연대의식 또한 강하게 중첩되어 있다. 넷째, 효에 내재된 두 가지 모듈의 중첩된 성질 가운데 어느 하나가 지나치게 강조되면 결국 정치사회적 강압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仁/측은지심(피해/배려) 모듈의 특성과 집단을 기반으로 하는 信(내집단/충성) 모듈의 특성이 효 개념 에 중첩되어 있다는 사실 자체를 긍정하고 더 이상의 이론적 논의를 시도하지 않았던 공자와 맹자의 효론이 가장 현실적인 효 이론이었다 고 평가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 글은 오늘날 효 교육이 효 개념의 이중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효 개념의 원형
1. 원시적 효 개념의 탄생
2. 고대의 효 개념
3. 고대 효 개념의 도덕심리학적 이해
Ⅲ. 효 개념의 도덕적 본성화
1. 공자와 맹자의 효론
2. 『효경』에 의한 효의 본성화
Ⅳ. 효의 정치사회화
1. 『효경』의 정치도구화
2. 주희의 『효경』 주석 실패
3. 정치와 사회의 혈연화
Ⅴ. 효 교육의 방향
1. 인성교육진흥법과 효
2. 효 교육의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채석용 Chae, Seok-yong. 대전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