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직과정 중심의 초등교사 양성대학 정체성 논의

원문정보

A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Training Colleg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이정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training colleg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rived the problem consciousness from his own personal experience. And by dividing the teach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into three stages through Mead's self-theory, it was revealed that the basic role of the training college is to smoothly convert the [student's point of view] that the preservice teacher has into [the teacher's point of view]. And such a conversion is possible through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mong the curriculum of the training college, and her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s a perspective changer, is to enable pre-service teachers to form a 'critical connoisseurship' on 10 subjects. In particular, this fact is consistent with the value of elementary education that subjects should be taugh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rather than the academic purpose of the subject itself. And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homeroom teacher and the goal of training colle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by reflecting these factor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program.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demands and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move forward in a direc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i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대학 정체성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신의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문제의식을 도출하고, Mead의 자아이론을 통해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을 3 단계로 구분함으로써, 양성대학의 기본 역할이 예비교사가 가진 [학생의 관점]을 [교사의 관점]으 로 원활하게 전환시켜 주는 데 있음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그러한 전환은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중 교직과정을 통해서 가능하며, 이때 교직과정은 구체적으로 예비교사가 10개 교과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갖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이러한 사실은 교과의 학문적 목적 그 자체보다 아동 발달을 고려하여 교과를 가르쳐야 한다는 초등교육적 가치에 부합한다. 그리고 그것은 초등교사의 역할, 교육대학의 목표로서 학급담임제라는 교직체제의 중요성을 드러내준다. 따라서 교육대학 교 직과정 프로그램은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해당 연구가 (예비)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 그리고 교직발달에 대한 요구와 필요로 부터 시작되었으며, 앞으로 초등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이를 적극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초등교사는 어떻게 준비되는가?
Ⅱ.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역할: 예비교사 정체성 형성
1. 교사 정체성의 의미
2. 교사 정체성 발달 과정
3. 양성대학에서 초등교사 정체성 형성
Ⅲ. 관점 전환의 Changer: 교직과정
1. 학교의 기본 역할 인식: 학문적 관점 vs 사회화 관점
2. 교직과정의 사명: 비판적 안목의 형성
Ⅳ. 결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표 Lee, Jung-Pyo. 강원, 동해중앙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