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원문정보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

이정민, 홍민희, 장기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somatic symptoms) in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For this study, a sample of 191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had difficulties with emotional dissonance(52.36%), depression(47.12%), anxiety(58.12%), and somatic symptoms(62.83%). 2. The risk group of emotional dissonance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3. Emotional dissonance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4.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somatic symptoms) was verified. Finally, We suggested the need to intervene in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in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n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thod.

한국어

본 연구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행정직원 191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들 다수가 감정부조화 (52.36%), 우울(47.12%), 불안(58.12%), 신체증상(62.83%)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감정부조화 위험군이 정상군에 비 교하여 우울, 불안, 신체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감정부조화와 심리적 유연성은 우울, 불안, 신체증상에 유의 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 요인(우울, 불안, 신체증상 각각)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노동과 정신건강에 개입할 필요성과 그 개입 및 예방 방안으로 서 심리적 유연성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문제
2. 연구방법
2.1 연구조사 및 대상
2.2 연구도구
2.3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차이
3.3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위험 수준
3.4 감정부조화에 따른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차이
3.5 감정부조화와 심리적 유연성, 우울, 불안, 신체증상 간의 상관관계
3.6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신체증상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4.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정민 Jung-Min Lee. 한국산업의료복지연구원 연구위원
  • 홍민희 Min-Hee Hong.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치위생학과 교수
  • 장기원 Ki-Won Jang. 한국산업의료복지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