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과 생활의 균형(WLB)과 상사신뢰가 직장행복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Work-Life Balance(WLB) and Superior Trust on Workplace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서영복, 박찬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study the overal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WLB), superior trust, workplace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WLB and superior trust affect workplace happiness, how workplace happines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happines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incumbents working in large companies and SM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items were review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is, WLB and superior trust have a positive (+) effect on workplace happiness, and workplace happi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job satisfaction plays a role as a partial parameter between WLB, superior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WLB and superior trust, the higher the level of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was suggested for Korean corporate members to achieve workplace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일과 생활의 균형(WLB)과 상사신뢰, 직장행복감, 조직몰입 간의 전체적인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 는 것이다. WLB와 상사신뢰는 직장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직장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그리고 직장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 재직자들을 대상으 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경로분석 방식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정결과 WLB와 상사신뢰는 직장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장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직장행복감은 WLB와 상사신뢰, 조직몰입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정 결과를 토대로 WLB와 상사신뢰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장행복감은 높아지며, 직장행복감이 제고될수록 조직몰입의 수준 역시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 구성원들의 직장행복감과 조직몰입 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2.1 일과 생활의 균형(WLB)
2.2 상사신뢰
2.3 직장행복감
2.4 조직몰입
3. 연구가설 수립 및 연구모형
3.1 연구가설 수립
3.2 연구모형
4. 연구방법론
4.1 표본수집 및 특성
4.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 가설 검정 및 결과
6. 결론
6.1 연구 결과 및 논의
6.2 연구의 시사점
7.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영복 Yeong-Bok Seo. 김천대학교 교양학과 교수
  • 박찬권 Chan-Kwon Park.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융합기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