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어머니의 문화적응유형과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 간 종단관계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ultural adaptation patter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ational ident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이형하, 윤진미, 한지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longitudinal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and the pattern of changes over time in the mother's cultural adaptation typ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ational identity. For the study, longitudinal data from the 2nd, 4th, 6th, and 8th years of the MAPS tracked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four types of mother's acculturation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longitudinal effect over time. The four types of mothers' cultural adaptation were analyzed to have a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youth.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tinuous acculturation support program. In order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solidarity with the country,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to increase multicultural receptivity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과 세 요인 간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MAPS의 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추적한 2차-4차-6차-8차년도 시점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 모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한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은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종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이 다문화적 가치를 수용하고 이를 확장해 이중문화스트레 스를 극복하고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갖는데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교육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문제
2. 이론적 배경
2.1 문화적응 유형과 개념
2.2 다문화수용성과 국가정체성과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모형
3.3 측정변수
3.4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분석 결과
4.2 측정모형 검증
4.3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검증
4.4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ppendix]

저자정보

  • 이형하 Hyoung-Ha Lee.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윤진미 Jin-Mi Yun.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 한지윤 Ji-Yun Han.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부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