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청소년부모 양육지원가의 양육지원서비스 제공 경험

원문정보

A study on experience of childcare service providers for adolescent parents

김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who have provided a chidlcare servic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childcare service for adolescent parents. The author used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o select 3 cases with experiences related to childcare service, collecting data via direct interview and by obtaining a written text describing their case management. An inductive (open) coding approach was utilized to draw themes and categories from the data. The 6 categories describing service providing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motives for participate a childcare service”, “contents of service provided by participants”, “tries to establish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parents”, “deepening of understand about adolescent parents”, “limits of providing service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childcare services on adolescent parents having crisis related to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에서 핵심 열쇠가 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실천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청소년부모 양육지원가의 역할과 역량을 조명하고 서비스 제도화와 운영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체계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양육지원서비스에 참여한 양육지원전문가 3명을 심층면 접하고 이들의 사례 일지 기록을 수집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6개의 범주와 2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양육지원서비스 참여 경험에 관한 6개의 범주는 “양육지원서비스 참여 동기”, “제공된 서비스 주요 내용”, “청소년부모와의 관계 형성 노력”, “청소년부모에 대한 인식 확장”,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 양육 위기에 있는 청소년부모를 지원하는 양육지원서비스의 내용과 운영과 관련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2.1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
2.2 가정방문 돌봄서비스 제공 경험
3. 연구방법
3.1 연구참여자 및 자료수집
3.2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 지원 동기
4.2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 제공 내용
4.3 청소년부모와의 관계 형성 노력
4.4 청소년부모에 대한 이해의 확장
4.5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 제공의 의미
4.6 청소년부모양육지원의 어려움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혜 Ji-Hye Kim.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