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한희창, 김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 of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comprehensively identification of their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directions and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 of disabled childre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using data collected from 430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in three regions of Jeollabuk-do.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 of disabled children,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via family strength. Second, the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s family strength was discover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Convergence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promote social support, family strength, and feelings of happiness for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관련성이 있다고 규명된 요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정책적인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라북도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주양육자 43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사회적지지, 양육스트 레스,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족건강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융복 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연구모형 분석결과
4.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한희창 Hee-Chang Han. 장애전문이화어린이집 원장
  • 김웅수 Woong-Soo Kim.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