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investigated how social exclusion affects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control in the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exclusion increases users' privacy concerns and reduces the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proved that sense of control can reduce the influence on privacy concern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intentions due to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social exclusion can act as a factor influencing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hat perceived control can reduce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fluencing variables in privacy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 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 를 증가시키고,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통제감으로 인해 사회 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지각된 통제감이 사회적 배제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기존의 프라이버 시 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심리적 요인도 영향 변수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프라이버시 염려
2.2 사회적 배제
2.3 사회적 배제와 통제감
3. 연구가설의 설정과 연구모형
3.1 연구가설의 설정
3.2 연구모형
4. 연구방법
4.1 자료수집 대상과 방법
4.2 실험 설계
5. 연구결과
5.1 연구대상의 특성
5.2 실험 결과 및 논의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