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South Korea, with the advancement of the ‘Port’ project, the regeneration industry adapted to the modern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promoted, leading to construction around the port was also redefined. Therefore, through regeneration, the problem of image construction of buildings around the port has been re-examined, in which color is an important content of image construction. In this study, the exterior walls of abandoned factory buildings in the port area of Bongnaedong, Pusan were selected as the color research object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ed factory buildings combined with the building color function. Technically, KSCP color analysis system is used for color analysis. In this way, the color plan for the exterior walls of the factory buildings is proposed to visually enhance the image of abandoned factory buildings and attract more attention, thus driving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adapt to the regional, industrial and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ed port space, the color hue, lightness, chroma and use area of the building can be changed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 and enhance the inductivity and security.
한국어
한국의 "항만" 프로젝트가 추진됨에 따라 현대 경제발전에 적응하기 위한 재생사업을 촉진하게 되면서 항구 주변의 건설도 새롭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재생디자인을 통해 항만 주변의 건축물 이미지 건설에 대한 사고가 재조명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 색채는 이미지 건설의 중요한 내용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영도의 봉래동 주변지역의 폐공장 건축물의 외벽을 색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재생 후의 공장 건축물의 특징에 근거하여 건축물 색채기능과 상호 결합하 여 평가하였다. 기술측면에서는 KSCP 분석시스템을 사용하여 색채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공장 건축물 외벽의 색채 기획을 제시하여 시각적 측면에서 재생 후 폐공장 건물의 이미지를 제고하여 이로부터 지역의 경제발전을 추진하는 효과를 이룬다. 본 연구결과는 재생 후 항만 공간이 가지고 있는 지역성, 산업성, 상업성의 특징에 부합되며 건축물 색채의 색상, 명도, 채도 및 사용면적에 대한 변화를 통해 심미성을 제고하여 유도성과 안전성의 작용을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이론의 고찰
2.1 폐공장 건축물 재생디자인의 중요성
2.2 봉래동 공장 건축물 색채에 대한 이해
2.3 폐공장 건축물의 색채 및 재생디자인 간의 관계
3. 대상지의 색채를 조사 및 분석
3.1 조사 방법
3.2 연구 대상지의 범위
3.3 색채 평가방법
3.4 설문 조사
3.5 공장 건축물 외벽채 현황
3.6 색채 분석 결과
4. 색채 계획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