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st appropriate festival concept in the post-corona era through in-depth analysis and discussion of local festivals, and to propose a tourism festival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urist satisfaction. It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local tourism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new festival concept in the post-corona era.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empirical research,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festival concept setting. In the post-Corona era,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ncept through an online video platform, establish a safety packaged tourism festival prevention system, and hold the most distributed tourist festival time and space of the tourist festival and space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it was necessary to plan and implement the village tourism festival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to apply the concept of a tourism festival enjoyed by small neighbors and neighbors in the village unit.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적절한 축제콘셉트를 설정 하고 국제 경쟁력과 관광자 만족을 위한 관광축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축제콘셉 트를 설정하여 구현함으로써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와 실증적 조사 및 종합적인 메타분석 결과는 축제콘셉트 설정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콘셉트 구축, 안전 패키지형 관광축제 방역시스템 구축,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개최가 필요하다. 또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관광축 제의 기획과 실행, 마을 단위 소규모 이웃과 이웃이 함께 즐기는 관광축제 콘셉트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2.2 코로나시대 문화관광축제의 실제
2.3 선행연구
2.4 포스트 코로나시대 지역관광 콘셉트 구축
3. 연구방법
3.1 관광축제의 콘셉트 구성
3.2 연구가설
4. 분석결과
4.1 연구 대상자 특성
4.2 관광축제 콘셉트 선호도 분석
4.3 관광축제 콘셉트 상관관계 분석
4.4 관광축제 콘셉트 신뢰도와 타당도 및 요인분석
4.5 가설검증 및 결과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