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딥러닝 기반의 Semantic Segmentation을 위한 DeepLabv3+에서 강조 기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ttention Mechanism in DeepLabv3+ for Deep Learning-based Semantic Segmentation

신석용, 이상훈, 한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epLabv3+ based encoder-decoder model utilizing an attention mechanism for precise semantic segmentation. The DeepLabv3+ is a semantic segmentation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and is mainly used in application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and infrared image analysis. In the conventional DeepLabv3+, there is little use of the encoder's intermediate feature map in the decoder part, resulting in loss in restoration process. Such restoration loss causes a problem of reducing segmentation accuracy.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firstly minimized the restoration loss by additionally using one intermediate feature map. Furthermore, we fused hierarchically from small feature map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is. Finally, we applied an attention mechanism to the decoder to maximize the decoder's ability to converge intermediate feature maps. We evaluated the proposed method on the Cityscapes dataset, which is commonly used for street scene image segmentation research.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our proposed method improved segmentation resul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epLabv3+.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 accurac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semantic segmentation을 위해 강조 기법을 활용한 DeepLabv3+ 기반의 인코더-디코 더 모델을 제안하였다. DeepLabv3+는 딥러닝 기반 semantic segmentation 방법이며 자율주행 자동차, 적외선 이미 지 분석 등의 응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기존 DeepLabv3+는 디코더 부분에서 인코더의 중간 특징맵 활용이 적어 복원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복원 손실은 분할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 은 하나의 중간 특징맵을 추가로 활용하여 복원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추가 중간 특징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특징맵부터 계층적으로 융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코더에 강조 기법을 적용하여 디코더의 중간 특징맵 융합 능력을 극대화하였다. 본 논문은 거리 영상 분할연구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Cityscapes 데이터셋에서 제안하는 방법 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DeepLabv3+와 비교하여 향상된 분할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제안 하는 방법은 높은 정확도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DeepLabv3+
3. 제안하는 방법
3.1 네트워크 구조
3.2 채널 강조
3.3 공간 강조
3.4 손실 함수
4. 실험 및 고찰
4.1 실험 환경
4.2 실험 결과 및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석용 SeokYong Shin. 광운대학교 플라즈마바이오디스플레이학과 석사과정
  • 이상훈 SangHun Lee.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 교수
  • 한현호 HyunHo Han. 울산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