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에 체류중인 난민여성의 복합적 트라우마 경험과 삶의 재구성

원문정보

A Refugee Women’s Complex Trauma Experience and Life’s Reconsruction in Korea

김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fugee women’s complex trauma and life’s reconstruction. Nine refugee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for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21. This research use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he results presents 3 themes and 17 sub-subjects. The final 17 sub-subjects are family unsupported, unsafe political situation and persecution, threatened life by religious discrimination, corrupted society, difficulity in finding a job and child rearing, communication absence, various discrimination, depression and anxiety, suicide ideation, stress, self-esteem collapses caused by violence, hopelessness, unqualified refugee, overcoming strong mothering, helpful community, overcoming by a religion, and having a dream.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intervene personal, community, social-structural and political aspect beyond the social alienation issue as a political issue in Korea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에 체류중인 난민여성의 트라우마 경험과 삶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내 난민여성 들의 인권과 복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수도권과 서울에 거주하는 난민여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인터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월부터 4월까지 행해졌으며 자료분석은 Liebich et al(199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10개의 주제는 의도하지 않은 선택: 이주, 낯선 가족관계 형 성, 수용되지 못한 불만과 분노, 소속감의 부재와 불투명한 미래, 그리운 모국친구, 학습의 어려움, 한국문화 따라 가기, 정체성 혼란과 방황, 게임 몰두와 비행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난민여성들에 게 모국을 떠나기로 한 결정의 요소로에 내편이 아닌 가족, 흉흉한 정치적 상황과 박해, 다른 종교로 생명의 위협 을 받은 느낌, 불안정한 부패사회로 나타났으며, 무겁고 두꺼운 삶의 영역들에 취업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부재, 무시당하는 차별, 우울과 불안, 자살사고, 스트레스로 인한 힘든 삶, 폭력으로 짓밟힌 자존감, 무 기력과 괴리감, 불안정한 난민자격 등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삶의 선택과 도전에는 강한 모성성으로 극복, 커뮤니 티는 나의 힘, 신앙으로 이겨냄, 꿈을 가짐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난민여성의 복합적 트라우마 가 나타났으며 이후 한국에서 삶의 선택과 도전들이 나타나, 한국사회에서 이들의 삶을 개인과 공동체적 관점, 사 회구조 및 정치적 관점에서 사회적 소외문제를 넘어 정치적 이슈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방법
2.2 연구참여자
2.3 연구절차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분석방법
2.6 연구의 엄격성
2.7 윤리적 문제
Ⅲ. 연구결과
3.1 모국을 떠나기로 결정
3.2 무겁고 두꺼운 삶의 장벽들
3.3 새로운 삶의 선택과 도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민경 Min-Kyeong Kim.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