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의 적색 안료 및 교착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

원문정보

Study on Scientific Analysis about Red Pigment And Binder - The Korean Ancient Red Pottery -

이의천, 박정혜, 이제현, 김수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Kimhae Museum, qualitative analyses using microscopic observation, SEM-EDS, Raman spectroscopy, FT-IR-ATR spectroscopy, and GC-MS were conducted on three burnished red potteries—Jeoksaekmaoyeonwa burnished red pottery (Neolithic age red pottery), Dandomaoyeonwan burnished red pottery(Bronze age red pottery) and Jeoksaekmaoyeongajimun burnished red pottery(Bronze age red pottery)—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the red pigments and the binder. After the layers of the primer were separated from the red surface, crystals of red pigment particles and minerals were found on the red surface. Through SEM-EDS, Raman estimates that the red pigment is Among soil pigments with iron oxide(Fe2O3) as the main color development source, Red Ocher(Fe2O3). A band characteristic of the Urushiol polymer was detected in the FTIR-ATRspectra(4000∼600cm-1), GC-MS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the benzenemethanol-2-prophenyl, 4-heptylphenol, 1-tetracecanol, heptafluorobutyric texidecane, all of which are the ingredients of the directional structure of the lacquer present in the red layer.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three burnished red pottery: Jeoksaekmaoyeonwan pottery(Neolithic age burnished red pottery), Dandomaoyeonwan pottery(bronze age burnished red pottery) and the Jeoksaekmaoyeongajimun pottery(bronze age burnished red pottery) made by mixing minerals and Red Ocher(Fe2O3), with lacqu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 중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적색마연완 붉은 간토기 (신석기시대), 단도마연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 적색마연가지문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에 사용 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를 확인하여 고대 붉은 간토기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의 종류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붉은 간토기 3점 모두 소지층과 적색의 표면층으로 구분되었으며, 적색의 표면층에서는 적색 안료 입자와 광물의 결정이 보였다. SEM-EDS, Raman 분석을 통해 적색 안료는 산화철(Fe2O3)을 주 발색원으로 하는 토양성 안료 중 석간주로 추정하였으 며, FTIR-ATR을 통해 Urushiol polymer의 특징에 의한 성분 피크가 검출되었다. GC/MS 분석 결과, 적색층에서 옻칠의 방향구조에 기인하는 성분인 Benzenemethanol-2-propenyl, 4-heptyl phenol, 1-Tetradecanol, Heptafluorobutyroxytridecane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붉은 간토기 3점의 적색 안료는 석간주(Fe2O3)를, 교착제로는 옻칠을 사용하여 제작된 토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분석 대상
2.2. 시료 채취 및 전처리 방법
2.3. 현미경 관찰
2.4. SEM-EDS 분석
2.5. Raman
2.6. FTIR-ATR
2.7. GC/MS
3. 결과
3.1. 현미경 관찰
3.2. SEM-EDS 및 Raman 분석
3.3. FTIR-ATR
3.4. GC/MS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의천 Ui Cheon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박정혜 Jung Hae Par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이제현 Je Hyun Lee.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실
  • 김수철 Soo Chul Ki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