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목판인쇄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n Experimental Reproducti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oodblock Printing on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유우식, 김정곤, 안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printing technology in Korea is studied by investigating existing ancient documents and records and comparing accumulated data and knowledge. Cultural property research requires non-destructive testing and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or aided by a microscope. Researchers’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required even though they cannot guarantee the outcome. For ancient documents and records that are presumed to consist of woodblock printing, wood type printing, metal type printing, or their combinations, each researcher draws various opinions and conclusions. This often causes confusion and divides the opinions of ordinary citizens and field specialists. Among them, the criteria for judging ancient documents or books printed using woodblock and metal movable material are ambiguous. Academ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printing technology in ancient Korea has been stagnant, and conflicts among researchers have also erupted. Involvement of national investigative agencies not specialized in cultural properties has exacerbated the situ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inting characteristics that are likely to serve as more objective judgment criteria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experiments of retrieving several sheets of Korean paper (Hanji) using a replicated Hunminjeongeum (訓民正音) woodblock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images of the printed papers. In addition, the validity and questions for the typical phenomena presented a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woodblock and metal print are reviewed.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objective judgement criteria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image analysis and investigating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through a reproduction experiment of woodblock printing.

한국어

우리나라의 인쇄기술사의 연구는 현존하는 고문헌, 전적류의 조사와 축적되어온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문화재 연구의 특성상 비파괴 검사가 요구되어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관찰과 연구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목판인쇄, 목활자인쇄, 금속활자인쇄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문헌과 전적류의 경우, 연구자마다 다양한 견해와 결론을 도출하게 되어 혼란이 가중되기도 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목판본과 금속 활자본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우리나라의 인쇄기술 발달사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정체뿐만 아니라 연구자들 간의 갈등이 분출되기도 하고 문화재 분야의 전문기관이 아닌 국가의 수사기관까지 가세하여 상황이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복각된 훈민정음(訓民 正音) 목판을 사용하여 여러 장의 한지에 직접 인출하는 재현성 실험과 인출된 결과물의 이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인출특성은 무엇인지 조사하였 다. 또한 현재까지 목판인쇄본과 금속활자본의 구별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기준의 타당성과 의문점 을 살펴보았다. 목판인쇄의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의 조사와 이미지분석법을 활용한 다양한 특징의 정량화를 시도하고 정량분석에 의한 객관성 있는 새로운 판단 기준확보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1. 복각 목판의 선정
2.2. 훈민정음 복제 목판을 사용한 한지상의 인출실험
2.3. 한지의 물성과 색상 측정
2.4. 사진촬영과 이미지 분석
3. 인출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3.1. 라이트 박스 위에서의 사진 촬영과 전체 이미지의 비교
3.2. 의사색을 사용한 농담 가시화의 향상을 통한 이미지의 비교
3.3. 분할된 이미지를 사용한 부분적 비교
3.4. 육안관찰에서 인출물 간의 편차가 비교적 작은 부분의 비교
3.5. 스레시홀드 스위칭 작업에 의한 인출특성의 정량분석
3.6. 고찰
4. 결론 및 전망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우식 Woo Sik Yoo. 웨이퍼마스터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김정곤 Jung Gon Kim. 웨이퍼마스터스
  • 안은주 Eun-Ju Ahn. 완판본문화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