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소가죽부위 및 추출조건에 따른 전통 아교 특성 변화

원문정보

Properties Change of Korean Traditional Animal Glue Depending on The Parts of Cattle Hide and Extraction Conditions

조규혁, 최지선, 박대우, 이한형, 정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animal glu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use of different parts of cattle hide and extraction conditions. Both average molecular weight(Mw, Mz) and polydispersity (PDI) of the animal glue increased with extraction time, whereas only PDI decreased after 48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PDI for the different cattle hide parts used, although a individual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otal molecular weight. Differences in extracts over time were compared by investigating the amide regions representing the gelatien component of the animal glue. The triple helix structure of the belly skin deteriorated in a manner proportional to the extraction time,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each cattle hide part. The yellowness increased with the extraction time; however, the viscos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average change in molecular weigh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difficulties in the quality control of cases where small amounts of glue were extracted as small differences might impact the overall results considerably. Further research exploring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is required to ensure the prodiction of traditional animal glue with optimum qualit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전통방식으로 재현한 아교를 대상으로 가죽부위에 따른 다양한 추출조건별 특성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균분자량(Mw, Mz)은 추출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다분산성 (PDI)은 추출시간에 따라 증가하다 추출 48시간에서 감소하였다. 평균분자량과 PDI 모두 가죽부위별 차이는 없었지만, 개체별로는 총분자량 차이가 있었다. 추출물의 차이는 아교(젤라틴)를 대표 하는 Amide 영역들을 통해 비교한 결과, 추출시간에 따라 뱃가죽의 삼중나선구조가 파괴되는 것이 확인되어 가죽부위별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물성평가 결과, 황색도는 추출시간이 증가할 수록 높아졌고, 점도는 분자량의 변화와 비례하지 않았다. pH는 화학적 전처리가 없는 생산아 교의 일반적인 특징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각 추출조건에 따른 생산아교의 특징들을 전체적으 로 분석한 결과, 소 개체별 차이가 큰 영향을 미쳐 소량 추출의 경우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더 다양한 추출조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일정한 품질을 가진 전통아교의 보급을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전통 아교 제조
2.2. 가죽조직분석
2.3. 분자량 측정
2.4. 적외선분광분석
2.5. 물성평가
3. 연구 결과
3.1. 가죽조직변화
3.2. 분자량 변화
3.3. 적외선분광분석
3.4. 물성변화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조규혁 Gyu Hyuk Cho.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최지선 Ji Sun Choi.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박대우 Dea Woo Par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기술소재은행
  • 이한형 Han Hyoung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기술소재은행
  • 정용재 Yong Jea Ch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