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부산 배산성지 1호 집수지 출토 대나무 발 수습 및 보존처리

원문정보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Bamboo Sunblind from the No. 1 Catchment Site in Baesanseongji, Busan

박지현, 박정혜, 이광희, 서연주, 박정욱, 김수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resent study, safe management and value improvement of bamboo sunblind, which is an item of cultural heritage, were performed by adopting stable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The bamboo sunblind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excavated from No. 1 catchment site in Baesanseongji, Busan. It was determined that the main material used to make the sunblind was bamboo, and herbal plants were used to weave the bamboo using lacquer as an adhesive agent. All contaminants and soil adhered to the sunblind was removed. Thereafter, the sunblind, which was recovered in the form o f b locks, was washed s eparately a fter fixing it to a t emporary p laster frame and to a void the blocks from breaking during washing. Then, polyethylene glycol (PEG) impregnation was utilized for the reinforcement treatment. Based on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the shape of the sunblind was fixed using a stainless-steel frame to prevent physical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reafter, the bamboo sunblind was vacuum freeze-dried. PEG 20% (in ethyl alcohol) was applied as a surface treatment agent for stabilization the sunblind. After the surface treatment, the bamboo sunblind were joined together to fit the maximum width, and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sunblind was restored—as best as possible—while filling in the missing parts by maximizing the use of unknown members such as in the disturbed layers below bamboo sunblind surface.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mpleted by fixing the bamboo sunblind into the fabricated frame.

한국어

배산성지 1호 집수지 내 출토 대나무 발의 안정적인 보존처리 수행으로 향후 안전한 관리와 가치 향상을 꾀하였다. 다양한 분석결과 발의 제작에 사용된 주재료는 대나무였으며, 초본류를 사용하여 대나무를 엮고 두 재료 간의 접착을 위해서 옻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블록 형태로 수습한 대나무 발은 세척 동안 흐트러지지 않도록 임시 석고틀을 제작, 결구하여 고착된 오염물과 흙을 모두 제거하고 개별로 분리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강화처리를 위해 PEG 함침법을 적용하였다. 예비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건조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유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고정틀로 형태를 고정한 후 진공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유물의 표 면안정화를 위한 표면처리제는 PEG 20%(In Ethyl Alcohol)를 적용하였다. 표면처리 후 대나무 발은 최대 길이에 맞춰 편을 접합하고 교란층과 같은 미상부재를 최대한 활용하여 결실부를 채워 배접방식으로 발의 형태를 최대한 복원하였다. 배접된 대나무발은 제작한 틀에 고정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처리대상 및 분석방법
2.1. 처리대상
2.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3.1. 3D Scan
3.2. 수종분석
3.3. 칠분석
4. 보존처리
4.1. 수습 및 이운
4.2. 세척
4.3. 강화처리 및 건조
4.4. 접합 및 복원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지현 Ji Hyeon Park. 국립광주박물관
  • 박정혜 Jung Hae Park. 진성문화재보존
  • 이광희 Kwang Hee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목제문화재연구소
  • 서연주 Yeon Ju Seo.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 박정욱 Jung Wook Park. 부산박물관 학예연구실 문화재조사팀
  • 김수철 Soo Chul Ki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