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바일 스트레스 대응 전략의 한중 비교 : 기술 적응 대응 모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ison of Mobile Stress Coping Strategies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Coping Model of User Adaptation

임명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work is to test empirically the Coping Model of User Adaptation (CMUA) proposed first by Beaudry and Pinsonneault (2005) based on the mobile office environment.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re are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 and China through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analyzing with entire data sets, we found that work overloa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privacy invasion affects problem-based coping strategy.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country are as follows: first, two coping strategies proposed by the CMUA were not significant in the Korean sample. On the other hand, work overloa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based coping strategies in the case of China. Furthermore, privacy invasion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not merely emotion-based coping strategy but also problem-based coping strategy. In the case of Korea, one of the reasons why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are not significant can be construed as the fact that various social supports are in place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e case of China, it can be interpreted as choosing an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because many organizations in China do not yet have a well-established social supports for its employe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based coping was preferred for stressors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by themselves, such as work overloa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when self-control is possible, such as invasion of privacy, it is highly likely to use both an emotion-based response as well as a problem-based response strateg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Beaudry and Pinsonneault(2005)이 제안한 기술적응 대응 모형을 검정하는 것이다. 본 모형을 포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 간에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전체 데이터(한국과 중국)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업무 과부하는 문제기반 대응과 감정 기반 대응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라이버시 침해는 문제기반 대응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경우 기술적응 대응 모형에서 제 안한 모든 대응 전략들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의 경우 업무 과부하는 감정 기반 대응 전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라이버시 침해는 감정 기반 대응 전략뿐만 아니라 문제기반 대응 전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개인적 대응 전략이 유의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조직 안에서 다양한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아직 구성원들을 위한 조직적 지원 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 대응 전략을 선택한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과부하와 같이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원의 경우 감정 기반 대응을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반면, 프라이버시 침해와 같이 스스로 통제가 가능한 경우, 감정 기반 대응뿐만 아니라 문제기반 대응 전략을 모두 사용할 가능성 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기술적응 대응 모형
2. 문화적 차이: 한국 대 중국
III. 연구 방법
1. 모바일 스트레스원
2. 자료의 수집
3. 응답자 특성
IV. 분석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V. 결론
1. 분석 결과와 연구 시사점
2. 연구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명성 Yim, Myung-Seong. 삼육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