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HK日本語発音アクセント新辞典』의 優位語~許容語의 様相(Ⅱ) - 5種의 일본어사전, 新版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pects of Predominant-permissible Words in NHK's New Dictionary of Japanese Pronunciation and Accentuation(Ⅱ)

『NHK일본어발음アクセント신사전』의 우위어~허용어의 양상(Ⅱ) - 5종의 일본어사전, 신판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건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of all,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se [predominant words􋹲permitted words] was very large during the period of less than 20 years between the new edition (1998) and and the new dictionary (2016).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faithfully reflecting the changes in language during the period, along with the factor of increasing quantity, that about 6,000 headwords were added to the new dictionary.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it showed a slightly different phase difference from the general Japanese dictionary in comparison with the five dictionaries. This is because the dictionary is based on ‘pronunciation suitable for broadcasting use’ based on a survey of NHK announcers and a vast database. Therefore, although NHK is advocating a common language, it is a special vocabulary called ‘broadcasting vocabulary’. It is judged that the environment led to the results of such investig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ndaku, this difference is remarkable,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anto region that prefer nasal sounds, as well as the soft pronunciation of sound sounds, which NHK announcers prefer.

한국어

우선 신사전과 5종 사전과의 조사 결과, 신사전에는 일반 일본어사전(5종 사전)과는 다소 다른 양상의 위상차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 특징이 관찰됐다. 이는 동 사전이 NHK 아나운서 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와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방송 사용에 적합한 어형 (발음)’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며, 따라서 NHK가 공통어를 표방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방 송용 어휘’라고 하는 특수한 환경이 이와 같은 조사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 탁의 경우 이러한 차이가 현저한데 이는 비음을 선호하는 관동지방의 언어적인 특성과 함께 탁음(유성자음)의 부드러운 발음을 NHK의 아나운서들이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사전과 신판본의 비교 결과, 신사전과 신판본의 ◯우~◯허형이 동일한 경우는 약 59% 이고 나머지 41%는 ◯우~◯허의 방향이 반대(약 5%)이거나, 신판본에서는 우선순위가 없는 복 수형(약 13%)이거나, 혹은 단수형(약 18%)이거나, 아니면 아예 표제어로서 무게출어(약 5%) 이거나 하는 경우이다. 결과적으로 양자 간의 약 20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에 이들 ◯우~ ◯허를 포함한 게출어의 변화 양상이 매우 컸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신사전이 신판본보다 6,000어 정도의 표제어가 추가되었다고 하는 양적 증가 요인과 함께 그간의 언어 변화를 신 사전에 충실히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신사전과 5종 사전의 양상 비교
3. 신판본(1998)・신사전(2016) 간 변화 양상
4. 나오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최건식 Choi KunSik.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