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OIUKA: Centering on the Final-Sentence Expression of TOIUKA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usage of TOIUKA in relation to an expression in a final-sentence. Using Stata to analyze the Japanese Corpus including TOIUKA,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OIUKA serves as a quoted question ends in a sentenc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OIUKA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first, a basic expression of TOIUKA is likely to function as a quoted question in a finalsentence. Second, it showed that TOIUKA is used in various ways for not only quoted questions but also examples of enumeration in a final sentence. Especially, TOIUKA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enumeration in a midsentence. Also, when TOIUKA is expressed in a sentence twice or more, it was statistically more likely to projected as examples of enume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een as suggesting that other forms related to ‘TOIUKA’ and ‘TOIUKA’ and independent uses and meanings of ‘TOIUKA’ should be distinguished.
한국어
본고는 문말의 ‘というか’를 독립적인 연구대상으로 하여 형식 및 용법을 분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하였다. 또한 코퍼스를 기반으로 Stata를 활용한 통계처리 방법을 시도하여 균형적인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전의 논의들과는 달리 문말의 ‘というか’는 이를 구성하는 본래의 통사적 구성 요소에 의해 용법과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래 ‘というか’가 문의 종결부에서 사용이 시작된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논리적인 설명의 배경을 찾아 볼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というか’를 언급할 때 항시 전제가 되었던 부정의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다수 존재하여 차이점을 보였다. 이에 더하여 ‘というか’의 관련 변이형들과 구분 되는 문말 ‘というか’의 성질도 찾아 볼 수 있었는데 구체적으로는 화자의 단순한 추측표현으 로서의 완곡용법 이외에도 강한 추측 표현이 일부 예문에 출현하는 것에 의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결과는 지금까지의 다수의 선행연구가 ‘というか’와 이형태가 구분없이 혼재되어 다 루어져 온 것에 대하여 ‘というか’에 대한 구분의 필요성과 ‘というか’의 위치의 중요성을 시사 하는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분석 방법
2.1.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2.2. 분석 방법 및 절차
3. ‘というか’의 분석
3.1. 유형 분석
3.2. ‘というか’의 형식 및 용법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