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귀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귀농멘토링을 조절효과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on the Returning to Farming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entoring

김봉식, 하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impact of personal competence, motivation for returning to farming, and government funding on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ing was reflected in the moderating effect. Since the late 60s,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led to the aging of rural areas and hollowing out of villages, causing the rural living base to collapse. In the past five years, 280,000 people have fallen and the population has decreased due to the rapid aging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purpose of whi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gulating return to farming. For this study, a survey of urbanites aged 30 and older who intended to return to farming was conducted, and 262 vali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ample, 68.7% of men were more than 31.3% of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49. Office workers, including civil serva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jobs with 66.4. The survey showed 21.8% of unmarried people and 78.2% of married people, with 65.3% of college graduates or younger, 14.1% of high school graduates, 13.7% of graduate students, and 6.9% of college graduates.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this study sample was 40.6 million won, with an average of 18 years of work experience.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23.0, and first,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Second,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s were us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als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relevance of related variables. Thir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sonal competence, farming motivation, and government funding on farming intentions and the regulatory effect of farming mentoring. The collected data perform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ffect of regulating mentoring in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conomic benefits, physical capacity, and farm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the case of gender, men were more likely to return to farming than women, and the higher the economic benefits of returning to farming, the higher the physical capacity, and the more farm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return to farming. As a result of adding home farming mentoring, which is a controlling variable, it was found that gender, economic benefits, physical competence, and farm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home farming intentions. Career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ing. The regulating variable, return-to-farm mentoring,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return-to-farm inten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ulatory variabl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s of eco-friendly life*return to farming mentoring and government funding* return to farming mentoring were identified as net regulatory variables. Economic benefits*Returning to farming was identified as a pseudo-regulatory variable because both interaction terms and variables were significant. Furthermore, the regulatory effectiveness verification results were significant at all stages. These results confirm the regulatory effectiveness of return farming men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and first, the smaller the career experience, the more likely it is to return to farming, which is a synergy effect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indset of new-generation prospective farmers to take capital gains. Second, government funding does not affect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ing, which can be said to be necessary for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ing, but more realistic alternatives such as transferring farming technology, mentoring, and securing sales outlets are needed. Third, it was found that returning to farming had a very major impact on the settlement after rural migration of novice farmers, and that exchanges with existing indigenous people and amicable relationships were important factors for returning to farming.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적역량, 귀농동기, 정부자금지원이 귀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귀농멘토 링을 조절효과로 반영하여 연구하였다. 60년대 후반 이후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농촌의 젊은 이들이 도시로 몰리자 농촌의 고령화 및 마을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 농촌의 생활 기반이 붕괴되고 있으 며, 최근 5년 간 농어촌의 인구가 28만 명이 감소하고 급속한 농어촌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인구가 감소 되는 시점에서 개인적역량, 귀농동기, 정부자금지원이 귀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독립변수로 제시된 3가지 변수와 종속변수인 귀농의도 간에 귀농멘토링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귀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귀농의도가 있는 30세 이상의 도시인들을 대상으 로 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6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표본의 특성을 살 펴보면 남성이 68.7%로서 여성 31.3%보다 많았고 연령은 평균 49세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공무원 등을 포함한 사무직이 66.4로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21.8%, 기혼이 78.2%로 조사되었으며, 조사표 본의 학력은 대졸이 65.3%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졸 이하가 14.1%, 대학원 이상이 13.7%, 초대졸이 6.9% 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표본의 연평균 소득은 4,06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경력은 평균 18년으로 조 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통계 프로그램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3.0을 사용 하였으며 첫째, 표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관련변수의 관련성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가 설검증과정에서는 개인적역량, 귀농동기, 정부자금지원이 귀농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귀농멘토링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귀농멘토링 조절효과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조절회귀분석을 검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경제적 혜택, 육체적 역량, 영농경험이 귀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성별의 경우 여성보다는 남성이 귀농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농으로 경제적 혜택이 증 가할수록, 육체적 역량이 높을수록, 영농경험이 많을수록 귀농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 수인 귀농멘토링을 추가하여 귀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성별, 경제적 혜택, 육체적 역량, 영농경험이 귀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경력은 귀농의도에 유의 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귀농멘토링은 귀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를 검증한 결과 환경친화적 삶*귀농멘토링, 정부자 금지원*귀농멘토링의 상호작용은 상호작용 항만 유의적인 수준으로 나타나 순수조절변수로 확인되었으 며, 경제적 혜택*귀농멘토링은 상호작용 항과 변수가 모두 유의적이어서 유사조절변수로 확인되었다. 또 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모형 1∼모형 4의 R² 변화량을 살펴보면 모든 단계에서 유의미했으며, 모형 3단 계에서는 2단계의 R²의 변화량(△R² = .045, p < .001)이 유의했으며, 4단계에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을 때 R²의 변화량(△R² = .030, p < .001)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귀농멘토링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첫째, 사회 경험이 적을수록 귀농의도가 증가하 는 요소를 나타냈으며 귀농을 창농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는 신세대 예비귀농인 들의 사고방식과 정부 및 지자체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시너지 효과를 발생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 이다. 둘째, 정부자금지원은 귀농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자 금을 귀농 목적에 맞게 대여하는 제도가 필요는 하겠지만 그보다는 영농기술이전, 귀농멘토링, 판매처 확보 등과 같은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귀농멘토링이 초보 귀농인들의 농촌 이 주 후 정착에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토착민들과의 교류나 원만한 인간관 계가 경제적 요인만큼 귀농정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 모형 및 가설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방법
IV. 실증 분석 결과
4.1 표본 특성
4.2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3 상관관계 분석
4.4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봉식 Bong-Shik Kim.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과정
  • 하규수 Kyu-Soo Ha.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