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년층 학교 교육 기여도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화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석

원문정보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ntribution to School Education and Analysis of Differences in Labor Market Performance

유현주, 배수현, 정지용, 민지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the contribution of young people to school education by type of school for final graduation, and to analyze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each school type.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contribution to school education by school type, university graduate group, college graduate group, and high school graduate group.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contribution of young people to school education by school type, university graduat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college graduates into 6 groups, and high school graduates into 4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contribution to school education, there was a tendency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abor market performance between groups by school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typ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abor market performance among the groups for each school typ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recognized as having a high contribution to school education showed higher labor market performanc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abor market performa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youth, the contribution to school education and the pattern of job mismatch were similar by school type. After discussing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follow-up study, when analyzing the contribution of young people to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chool-level characteristic variables together. Seco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study the contribution of young people to school education in a longitudinal dimension. Third,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and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Fourth, studies analyzing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young people by educational background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한국어

이 연구는 청년층의 학교 교육 기여도를 최종졸업학교 유형별로 유형화하고, 각 학교유형별 집단의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학교 유형인 대학교 졸업자 집단, 전문대학 졸업자 집 단, 고등학교 졸업자 집단별로 학교 교육 기여도를 유형화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유형화 이후 각 집단 별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학교 교육 기여도를 학교 유형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대학교 졸업자는 5개 집단, 전문대학 졸업자는 6개 집단, 고등학교 졸업자는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교 교육 기여도 유형화 결과 학교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셋째, 학교 유형별 집단 간 노동시장 성과를 차이 분석한 결과, 학교 교육 기여도 유형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청 년층 각 학교유형별 집단 간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석 결과 학교 교육 기여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집단 일수록 노동시장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년층 각 학력별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 석 결과 학교유형별로 학교 교육 기여도와 직무불일치의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연구에서는 청년층의 학 교 교육 기여도를 분석함에 있어 학교 수준의 특성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층의 학교 교육 기여도를 종단적인 차원에서 측정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교육 기여도와 학교 교육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넷째, 청년층의 학력별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 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학교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이행
2.2 학교교육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2.3 학교 교육 기여도와 노동시장 성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자료 및 대상
3.2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4.1 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 기여도 유형화
4.2 차이분석
Ⅴ.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유현주 Hyunjoo Yu.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수료
  • 배수현 Suhyun Bae.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
  • 정지용 Jiyong Jeong.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수료
  • 민지식 Jisik Min.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