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淸溪寺의 연혁과 소장 목판의 현황

원문정보

The History of Cheonggyesa and the Status of Woodblocks

청계사의 연혁과 소장 목판의 현황

채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Cheonggyesa (淸溪寺), located in Cheonggye Mountain in Uiwang-si, Gyeonggi-do, is as follows. First,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Jo In-gyu reconstructed Cheonggyesa and used it as a Wondang. Second, it was a period of royal importa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it was included in the state-designated Jaboksa (資福寺). Third, Cheonggyesa, which was burned down due to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restored to the reign of Gwanghaegun, and in the late years of Gwanghaegun, the crown prince used Cheonggyesa as the Wondang. Fourth, the royal family actively supported from the reign of king Sukjong to the Yeongjo and Jeongjo, and it was a period that reached the present time through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What’s noteworthy here is that a Dhyana Gyeongheo, who greatly revived Joseon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King Chuljong, which has been underdeveloped since the modern era, was become a Buddhist monk of Cheonggyesa. Cheonggyesa, which has this history, has a considerable amount of woodblocks. These woodblock-printed materials are the largest collection of materials in temples in Gyeonggi-do Province, and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se woodblocks suggest that Cheonggyesa was the Wondang and focused on Buddhist monk education.

한국어

경기도 의왕시 청계산에 위치한 청계사의 연혁은 시기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후기 조인규가 청계사를 중창 하면서 원당으로 삼았던 시기이다. 둘째, 조선초에 국가에서 지정한 資福寺에 들 정도로 왕실에서 중시한 시기이다. 셋째,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청계사가 광해군대 복원되고, 광해군 말년에는 왕실이 청계사를 세자의 원당으로 삼았던 시기이다. 넷째, 숙종대부터 영․정조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이 적극 지원하였으며, 이후 한말, 일제시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는 시기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철종조에 근대 이후 낙후된 조선불교를 크게 중흥시킨 경허 선사가 청계사에서 출가하였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연혁을 가진 청계사는 상당한 분량의 목판을 소장하고 있다. 이들 목판 자료는 경기도 일원의 사찰에 소장한 자료 중에서도 분량이 가장 많으며, 주로 조선후기에 조성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목판을 통해 청계사는 왕실의 원찰이면서 승려교육에도 주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목차

<초 록>

1. 머리말
2. 청계사의 연혁
2.1 고려말 조인규의 중창
2.2 조선전기 청계사의 추이
2.3 광해군의 청계사 복원과 원당화
2.4 조선후기 청계사의 추이
3. 소장 목판의 형태와 내용
3.1 경전
3.2 의식 관련
3.3 강원 교육 관련
3.4 기타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채상식 Chae, Sang-Sik. 부산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