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대 변화에 따른 근대문헌 범주의 재설정 문제와 방안

원문정보

Redefinition and Conservation of The Modern Publication according to Changing Periods

유춘동, 오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Publication is an important national historical heritage that convey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of our history to the present. However, it has been classified as general Book and is on the verge of disappearing. Recently, organizations have recognized this issue and tried to collect and manage Modern Publication systematically. Currently, the most urgent task is to provide separate regulations an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modern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regulation, a policy of collecting and storing core domestic institutions is needed.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for this role i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urrently has several foundations for collecting, storing, and managing Modern Publication. In addition, this course needs to make the most of or link th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researchers, institutional performance results, and the results of specialized academic conference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Through this, efficient work such as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Modern Publication, work by type, and further collec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an be secured. Until now, the need for collection,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Modern Publication was raised early on. However, this has not been done so far, and there is an unusual situation around us where organizations collecting Modern Publications are expanding without such foundation work. Given this situation, reorganiz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odern Publications are a priority at the national level.

한국어

근대문헌은 우리 역사의 근현대시기의 사회상을 현재에 전달하는 중요한 국가기록문화유산이다. 그러나 근대 문헌은 그동안 일반자료로 분류되어 사장될 위기에 있다. 최근 각 기관에서 이 문제를 인식하고 근대문헌의 체계적인 수집, 관리 등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근대문헌의 범주 설정, 별도의 규정과 관리 방안 마련이다. 그리고 이 규정에 의거 하여 국내 핵심 기관을 선정하여 수집, 보관의 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관은 국립중앙도서관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현재 근대문헌을 수집, 보관, 관리하고 특화할 수 있는 여러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바탕으로 기존에 구축해 놓은 개인 연구자의 연구 성과물, 기관별 기 수행 결과물, 근대문헌 분야의 특화된 학회의 결과물을 최대한 활용하거나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근대문헌의 수집 및 관리 등의 효율적인 작업, 유형별 작업, 더 나아가 수집, 보존, 관리 등이 쳬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근대문헌에 대한 수집, 정리, 체계화의 필요성은 일찍부터 제기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현재는 이러한 토대 작업 없이 오히려 근대문헌을 수집하고 있는 기관들이 더욱 확대되는 특이한 상황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국가 차원에서 기구의 재편, 근대문헌의 개념 정립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목차

<초 록>

1. 서론
2. 근대문헌 관리의 실태
2.1 주요 기관의 상황
2.2 온라인 전자 통합 시스템의 상황
2.3 기타 기관 및 학회의 상황
3. 근대문헌의 관리 방안
3.1 근대문헌의 규정 및 범주 마련
3.2 근대문헌 관리의 국가 주관 기관의 필요성
3.3 근대문헌의 소장 및 연구 기관의 연계
4. 마무리와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춘동 Yoo, Choon-Dong.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 오영식 Oh, Young-Sik. 근대서지학회 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