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행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서비스의 부가정보와 정보 전송 설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its transmission method of data service linked to travel program

고광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in 2018 and 2019, traveling to places recorded in TV programs or influential videos has become an important travel trend and several studies show that watching a travel program improves the intention to visit the places featured on the program. This study designed a travel program-li nked data service tha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places and events to the viewers of the travel progra m. Specifical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vel program was defined in a formal manner by dividing it into pl aces and events, and a method of exposur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nformed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as designed. We also devised an international standard DVB-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that provides the add itional information to data services appropriately in time for program broadcas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este d new applications of data services for travel programs.

한국어

2018년과 2019년 한국관광공사 조사에 의하면 TV 프로그램이나 영향력 있는 동영상에 기록된 장소를 여행하는 것이 여 행의 중요한 경향으로 자리 잡았으며, 여행 프로그램을 시청하면 그 프로그램에 등장한 장소에 대한 방문 의도가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들도 발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여행 프로그램의 시청자에게 프로그램에 노출되고 있는 장소와 행사에 대한 부가정 보를 제공하는 여행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서비스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행 프로그램의 부가정보를 장소와 행사로 구 분하여 정형적으로 정의하였고 프로그램 내용에 정합된 부가정보의 노출 방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부가정보를 프로그램 방송 시간에 맞춰 적절하게 데이터서비스에 제공하는 국제표준 DVB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고안하였다. 이 연구는 여행 프로 그램을 대상으로 데이터서비스의 새로운 응용을 시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COVID-19 사태로 침체된 여행 문화의 활성화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관련 연구
1.3 연구 주제
2. 데이터서비스 개요
3. 부가정보와 노출시점의 정의
3.1 부가정보의 정의
3.2 노출시점의 정의
4. 부가정보 전송 방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광일 Kwangil KO. 우송대학교 테크노미디어융합학부 미디어디자인ㆍ영상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