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1945-1950년 속초·양양지역의 공산체제형성 -개인 만들기와 배제·포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a communist system in Sokcho and Yangyang in 1945-1950 -Focusing on individual creation, exclusion, and inclusion

이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liberation, the communist regime in North Korea began in earnest. In Sokcho and Yangyang regions, the transplantation of the communist system began. This area has had a revolutionary peasant union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they carried out active communist activities. Together with these activities, North Korea was able to form a communist system even to the very end. What North Korea had to do to form a system was to create individuals who could adapt to the communist system and reorganize the village. North Korea's personal creation was to internalize the communist regime's discipline power. In other words, through liberal arts projects, self-criticism, rewards and punishments, diligence and example, and propaganda activities that fall under the power of discipline, North Korea created individuals suitable for the system and took the lead in behavior (character and behavior). Another task for the formation of a communist system was to distinguish between enemies and comrades to the system. In other words, the enemy was thoroughly excluded and the comrades included. Exclusion and inclusion are closely related to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is whe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party intersect. At the heart of Li's local rule was the formation of a cell-centered communist party. Those excluded from them were excluded from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they were included in were individuals who had been internalized by the communist regime's discipline power. They became the protagonists of the North Korean communist system and the protagonists of historical change.

한국어

해방 후 북한지역은 공산체제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속초, 양양지역도 공산체제의 이식 이 시작되었다.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부터 혁명적인 농민조합이 발달해 있었다. 이들은 해방 이 되자 적극적인 공산주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의 활동과 더불어 북한은 말단 지역까지 공산체제를 형성할 수 있었다. 북한이 체제형성을 위해 정초해야 할 것은 공산체제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 만들기와 주민의 포섭과 배제 즉 주민통제였다. 북한의 개인 만들기 작업은 공 산체제의 규율권력을 내면화하는 것이었다. 규율권력에 해당하는 교양사업, 자아비판, 상과 벌, 근면성과 모범, 선전활동 등을 통해 북한은 체제에 적합한 개인을 만들고 품행(품성과 행 위)을 주도하였다. 공산체제의 형성을 위한 또 하나의 작업은 체제에 대한 적과 동지를 구별 하는 것이기도 했다. 즉 적은 철저하게 배제시키고 동지는 포섭하는 것이었다. 배제와 포섭은 지방통치의 핵심이라할 수 있다. 지방통치에서 제외된 사람들은 곧 체제로부터 배제되었다. 반면 이들의 포섭 대상이 된 사람들은 공산체제의 규율권력으로 내면화된 개인이었다. 이들 은 북한 공산체제의 주인공이자 역사변혁의 주역이 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해방 후 양양농민조합의 공산체제 형성
3. 지역통치 기반인 개인 만들기
4. 주민의 배제와 포섭: 주민통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세진 Lee, Sejin. 호서대학교 더:함 교양대학 창의과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