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읍면동 주민주도 마을복지계획 수립과 개선방안 - 용인시 A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Residents-Driven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Eup-Myeon-Dong : Focusing on the case of A-dong, Yongin-si

박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actical and policy tasks of Residents-driven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Eup-Myeon-Dong by revie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dong in Yongi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welfare planning is based on reinforcing the function of the welfare delivery system at the level of Eup-Myeon-Dong. Second, the community welfare plann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ing to small-scale local agendas, utilizing various local resources, and requiring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omposition of an activity group, working group, and advisory group for community welfare planning. Fourth, in order to establish a community welfare planning, it is necessary to utilize specialized resources in the community and encourage residents-led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y for community welfare and public-private cooper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복지전달체계의 변화에 따른 마을복지계획 추진의 의미를 확인하 고 해당 계획 수립과 관련된 실천적·정책적 과제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용인시 A동의 마을복지계획 수립의 전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및 실무자와의 지속적인 논 의를 진행하였다. 본 사례는 지역 단체나 마을공동체 등의 자원이 부족한 읍면동에서 실제 마 을복지계획이 추진될 경우에 당면하게 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복지계획은 읍면동 단위 복지 전달체계의 기능강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둘째, 마을복지계획은 지역의 소규모 의제에 빠르게 대응하고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하며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특징을 가진다. 셋째, 마을복지 계획 추진단 구성과 실무 및 자문단 구성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지역 내 전문 자원의 활용과 함께 주민들의 주체적인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였다. 첫째, 마을복지계획 추진을 위해서는 읍면 동 인적안전망의 활성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시군구-읍면동 간의 협력 관계 형성 및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지역 간 교류 협력과 주민 촉진자의 양성이 동반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마을복지계획의 배경과 특성
2. 마을복지계획과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변화
Ⅲ. 연구방법
1. 연구방법 및 분석 틀
2. 연구수행절차 및 사례 선정
3. 사례분석 대상의 특성
4. 마을복지계획 추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검토
Ⅳ. 연구결과
1. 마을복지계획 추진 개요
2. 계획 수립의 과정 및 결과
3. 계획 수립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평가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준 Park, Seongjun. 용인시정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