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기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학령 초기 ADHD와의 관계에서 관련변인의 구조관계분석 :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

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in Early Childhood and Eearly School-age ADHD : Warm Caregivng, Learning Readiness, Social Competence

원혜숙, 신현자, 박춘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warm caregiving, and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by mothers to ADHD symptom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were used. As a result, first, th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in early childho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HD in the early years of school age, and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rly school-age ADHD. Secondly, the marital conflict in early childhood had a direct effect on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the social competence, and the early school-age ADHD,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routes. Thirdly, as the most effective route, the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the path leading to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the order of warm caregiving,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adines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high marital conflict has an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low warm caregiving,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한국어

이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온정적양육, 아동 의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기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령초기 ADHD와 정적상관을 보이고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과는 부적상관을 보 였다.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은 학령초기 ADHD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 째, 유아기 부부갈등은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 학령초기 ADHD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여러 경로를 통해 학령초기 ADHD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셋째, 가 장 효과적인 경로는 부부갈등이 온정적양육, 사회적유능감, 학습준비도의 순서를 통해 학령초기 ADHD로 가는 경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높은 부부갈등은 낮은 온정적양육, 학습 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을 통해 학령초기 ADHD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측정 변인의 다변량 정상분포 및 상관행렬
2. 측정모형 검증
3. 구조모형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혜숙 Won, Hye Sook.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과정
  • 신현자 Shin, Hyeon ja.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과정
  • 박춘성 Park, Chun seong. 상지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