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그림으로 읽는 조선시대의 춤 문화Ⅲ : 사적공간의 춤 그림

원문정보

Joseon Dynasty Read through Paintings III : Dance Paintings in Private Spaces

조경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dance practiced in private spa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paintings and literature. This study is the third part of a series of research exploring paintings depicting dances in various performance venues in the Joseon dynasty. While the first two researches were about dances performed in royal palaces and in public places respectively, this article analyzes paintings and literature of dances in private spaces in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dances performed in the personal social gathering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subject: dances performed at social gatherings for the elderly, reunions of officials who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same year, and social gatherings for the middle class. These dances were performed to strengthen the community spirit or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s of professional young male dancers called mudong. Second, dances performed to celebrate the longevity of parents on their birthdays are analyzed. In such events, the moth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as well as audience, and the concept of “filial piety” was emphasized in the “Son’s Dance.” Finally, dances conducted in private folk venues are examined. Some of these paintings portray a son who dances as a “performer” to celebrate his parents’ diamond wedding anniversary. Other paintings depict a clown dancing in a three-day parade where a person who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visits his examiners, high-ranking senior officials, and his relatives.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적공간의 춤 문화를 ‘그림’ 자료를 통해 읽으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왕실공간-관아공간-사적공간의 춤 그림으로 조선시대 춤 문화를 밝히는 연구 중에 세 번째 단계이다. 연구방법은 도상과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범주인 ‘사적공간’은 공적인 공간과 상대되는개념으로, 1단계와 2단계의 연구가 왕실공간과 관아공간이라는 공적인 공간에서 행해진 춤 그림을 연구대상으로 했다면, 이번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적인 공간에서 춤추었던 그림이 연구대상이다. 사적공간의 춤 그림 중에서 1 2단계 연구처럼 실존 인물이 등장하는 기록화의 특성이 있는 그림만 대상으로하였다. 연구내용은 세 가지이다. 첫째, 개인적인 친목 공간에서 추었던 춤 그림을 대상에 따라 노인 친목모임, 과거 동기 모임, 중인 친목 모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양반 노인의 친목모임을 그린 「십로계축」 을 통해 양반이 일상에서 춤을 즐겼음을 알 수 있었고, 「수갑계첩」과 「기로세련계도」를 통해 세력과재력이 있는 중인들이 양반처럼 춤을 향유했음을 확인했다. 둘째, 부모님의 장수를 축하하는 헌수 공간에서 추었던 춤 그림을 살펴보았다. 헌수 공간에서 잔치의 주인공이자 춤의 관객으로 어머니가 중요했으며, ‘효’를 강조한 시대적 관념이 ‘자제의 춤’으로 형상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풍속공간에서 실존 인물이 등장하는 춤 그림을 탐색했다. 회혼례 때 자식은 ‘노래자’가 되어 춤을 추었고, 삼일유가에서 광대가 춤으로 영광의 기쁨을 더했던 풍경도 그림으로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 조선시대에 양반과 중인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삶의 공간에 춤 문화가 매우 깊숙이 내면화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친목 공간의 춤 그림
1. 노인 친목 모임의 춤
2. 사마시 동기 모임의 춤
3. 중인 친목 모임의 춤
III. 헌수 공간의 춤 그림
1. 채씨 부인 102세 잔치의 춤
2. 일곱 어머니를 위한 잔치의 춤
3. 8남매의 장수를 축하하는 춤
IV. 풍속 공간의 춤 그림
1. 회혼례의 춤
2. 삼일유가(三日遊街)의 춤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경아 Cho, Kyunga.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