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한국전통춤 연구 동향 분석 :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전통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n Dance Research Trends through Text Mining Methods : Focusing on the Traditional Dance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정현아, 김형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seven Korean traditional dance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are given social values and cultural symbolism as a historical heritage of the country.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by using the seven dances as the search keyword and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methods. These collected papers investigated frequency analysis, entity name recognition, connection centrality, and N-gram, focusing on their titles and publication years. For the final analysis, 1,043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1,065 thesis and dissertations in RIS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pers, depending on what genre an intangible heritage belongs to. It can be also found that research on traditional dances has gradually decreased. Many studies have shown the tendency to concentrate on the interpretation,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s. In the meantime,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develop or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dances a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한국어

오늘날 한국무용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다. 과거에 비해 연구주제의 범위 가 넓어지고 연구방법론이 세분화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연구의 질적인 측 면과 다양성 부분에서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한국무용학 관련 연구는 여전히 특정 학회나 창작춤에 대한 분석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무용은 여러 전통춤이 포함돼 있는데 기존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분류 시도가 미흡하여 장르별 연구가 부족하고 전통춤을 하나의 통합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향 이 있었다. 다만 수십 개에 이르는 전통춤의 연구동향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쉽지 않을뿐더러, 자료가 부족하거나 내용이 중첩되는 장르들도 있어 전통춤 내에서 특정 장르들을 선별하여 연구할 필 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역사적 소산으로써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상징성이 부여되는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7개 전통춤의 연구동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전통춤을 하나 의 장르로 인식하거나 특정 대중적 장르 위주로 분석하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전통춤 연구동향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세분화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국가무형문화재 전통 공연·예술 분야 중 춤 항목으로 등록된 7개의 전통춤을 키워드로 하여 논문을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목과 연도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개체명인식, 연결 중심성, N-gram을 살펴보았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수집하여 본 연구와 관계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술지 1,043건, 학위논문 1,065건이었다. 분석결과, 같은 국가무 형문화재들 간에도 장르별로 논문수가 큰 차이를 보였고, 현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전통춤에 대한 연구 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국가무형문화재 전통춤의 해석과 개발, 보존과 전승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가 많은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전통춤을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로 개발하거나 대 중화시키려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주 및 방법
II. 본론
1. 연도별 집계
2. 춤별 집계
III. 연구 결과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현아 Jung, Hyun A.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 김형남 Kim, Hyung Nam.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