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永嘉誌(영가지) 및 咸州誌(함주지) 간의 브랜드 관계특성 비교연구 - 브랜드자산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Brand between Youngga & Hamju Topographies in Chosun Dynasty - Focused on Brand Equity Theory -

권기대, 권기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pproa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Younggaji”(1608) and “Hamjuji”(1587)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theory of brand assets. The two geographical sites were the first private collection, containing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at recorded the unique resources of the area. The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of geographical maps was the reorganization and stability of the local cultural order, the cultivation of customs and the efficiency of local administration. The spatial scope of the research is for Andong and Haman areas. The content scope shall utilize the website containing the identity of Haman and Andong region, and secondary data on Haman and Andong areas. Resources scattered in each region apply the brand asset theory of Aaker (1991, 1996) and Keller (1996). These two geographical comparisons show that, First, Kwon-gi was a local scholar, and “Younggaji” was compiled with the cooperation of local Confucian scholars such as Kwon-haengga. “Hamjuji” in Jeong-gu was the head of Haman-gun County, Second, the native brands of “Younggaji” listed five types of fish, herbal medicines, forest resources, clothing materials and household goods, “Hamjuji” is a local brand of earthenware produced in the region and only mentioned 18 kinds, including jujubes. Third, “Younggaji” mentioned the production of Jamsa, Andongpo, and rice. In short, “Younggaji” is in line with today's agricultural joint brand, local food, geographical labeling, country of origin.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positioned as brand assets by consumers.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시대 永嘉誌(1608년) 및 咸州誌(1587년) 간의 브랜드 관계특성을 브랜드자산이론관점에서 접목한다. 쌍벽을 이루는 이들 지지(地誌)의 브랜드는 관찬이 아닌 최초의 사찬(私撰)으로서 그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기록한 역사ㆍ문화ㆍ행정ㆍ교육적 가치를 담았다. 당시 지지의 편찬 배경은 향촌문화 질서의 재편과 안정, 풍속의 교화, 지방행정의 효율성 제고이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안동 및 함안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시간적 범위는 권기(權紀) 및 정구(鄭逑)의지지 편찬 및 생애를 기반으로 한다. 내용적 범위는 안동 및 함안의 정체성을 담은 관련 홈페이지, 안동 및 함안지역을 연구해왔던 2차 자료를 적용한다. 각 지역에 산재한 자원들은 Aaker(1991, 1996)와 Keller(1993)의 브랜드자산이론을 응용한다. 두 개의 지지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첫째, 권기는 지역의 학자이었고, ⌜영가지⌟는 권행가 등 지역 유림들의 협조 하에 편찬되었다. 반면, 정구는 자신이 함안군수로서 관직을 활용하여 재지사족의 도움을 받아 ⌜함주지⌟를 편찬하였다. 둘째, ⌜영가지⌟의 토산 브랜드는― 어류 8종, 한약재류 41종, 산림자원 11종, 의복재료 3종, 생활용품 13종, 광물자원 5종 등을 열거하여 고유한 차별성을 갖는다면, ⌜함주지⌟는 지역 생산 토산(土産) 브랜드로 대추 등 18종만을 언급하였다. 셋째, ⌜함주지⌟는 토품(土品)을 언급하지 않았다. 「영가지」는 잠사(桑), 안동포(麻), 벼(稻) 생산을 거론하였다. 넷째,⌜영가지⌟는 ⌜함주지⌟와 달리 지지 서두에 권기의 서문이 있고 본부도(本府圖)를 비롯하여 임하ㆍ길안ㆍ감천ㆍ내성ㆍ일직ㆍ풍산ㆍ개단부곡ㆍ춘양ㆍ소천부곡ㆍ재산 등의 지도가 실려 있다. 아는 오늘날의 역사성을 가미한 농산물 생산 로컬 브랜드를 알 수 있게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브랜드자산이론
2.2. 브랜드 ‘인문지리지’의 선행연구
3. ⌜영가지⌟ 및 ⌜함주지⌟ 간의 브랜드 비교분석
3.1. 안동 및 함안지역의 여건
3.2. 권기 및 정구의 생애
3.3. ⌜영가지⌟ 및⌜함주지⌟ 간의 브랜드 관계특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기대 Kwon Ki Dae. 국립공주대학교, 산업유통학과
  • 권기백 Kwon Ki Baek. 대덕대학교, 반도체자동화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