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왕후 국상과 後金⋅淸의 弔問

원문정보

The Funerals for the Queen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dolences offered by Manchurian Qing(後金・淸)

조선후기 왕후 국상과 후금⋅청의 조문

이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manner in which Chinese delegations offered condolences to Joseon for the recent passing of Joseon queens during the dynasty’s State funeral. Curiously, so far there hasn’t been any study that focused on this particular issue, so in this article I tried to present a broad overview on the matter. It was this author’s initial belief that Ming and Qing would have responded differently to Joseon state funerals (not only those for the kings but those for the queens as well), but it turned out that the Joseon government never informed the Ming court of its own queen’s demise. And for several reasons, the predecessor to Qing, the Hugeum(Later Chin), was new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tudy. Interestingly, when a Hugeum delegation came to Joseon to offer condolence, the Joseon government did arrange for them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Joseon queen, but not at the Honjeon(魂殿) hall which was already set up, and instead in a separate Byeoljeon(別殿) space. This sort of practice was apparently repeated later on, even when Hugeum concluded its conquest of the China proper and renamed itself to Qing, as we can see from a certain case in which the Qing delegation was sent to Joseon to pay respect to the late Joseon queen Inseon(仁宣王后, wife of King Hyojong), as well as many other examples that followed in subsequent period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centerpiece of the funerals for queens shifted as time went on. In cases of services held in provisional Honjeon spaces only a temporary tablet(Gaju, 假主), rather than the real one(Shinju, 神主), was used to represent the late queen. Then in later periods, the real tablet began to be used. Meanwhile, in funerals for the Kings, all foreign delegations either from Ming or Qing held their services in the Honjeon hall, and not in any extra Byeoljeon spaces. No ‘temporary’ tablets for the Kings were used either.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후의 국상에 중국에서 조문하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는 처음 연구를 시도하는 것으로, 그런 의미에서 전반적인 정리와 흐름에 초점을 두었다. 처음에는 국왕 국장처럼 왕후도 중원의 주인이 명이냐 청이냐에 따라 차별적인 지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명에 왕후의 국상을 알리지 않았고, 특히 후금이라는 변수가 나타나면서 명과 청이라는 구분에서 후금과 청으로 구분되었다. 특징적인 양상은 후금에서 조문 사신이 왔을 때부터 실제 마련한 魂殿이 아니라 別殿에서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청이 중원의 주인으로 들어선 뒤 처음으로 세상을 떠난 효종비 인선왕후의 국상에서도 그대로 이어졌고, 향후 승하한 왕후들의 국상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여기에 하나 더 중요한 것은 제사지내는 대상이다. 임시로 마련한 혼전에서 제사지내는 대상은 실제 왕후의 신주가 아닌 假主를 사용하다가 점차 각 왕후의 신주를 사용하는 것으로 달라져 갔다는 점이다. 국왕 국장에서는 명 사신이든 청 사신이든 별전을 따로 정하지 않고 실제 마련한 혼전에서 제사를 지냈다. 제사를 지낸 대상도 가주가 아닌 각 국왕의 신주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인조대 후금의 조문
1. 인목왕후 국상과 金差의 進香
2. 인열왕후 국상과 금차의 弔祭
Ⅲ. 현종∼고종대 청의 조문
1. 현종∼숙종대 告訃使의 파견과 청의 조제
2. 영조∼고종대 청의 조제와 조선의 대응, 그리고 항식화
Ⅳ. 맺음말 : 왕후 국상의 성격, 국왕 국장과의 비교
<부표>조선의 고부사와 후금・청의 조문 사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진 Lee, Hyun-jin.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